원전 백지화 기류 속 한수원 수장 교체…‘수출·신규원전’ 원전정책 혼선 불가피

2025-11-10     오두환 기자
한수원 사옥 [한수원]

 

[더퍼블릭=오두환 기자] 황주호 전 사장의 이임으로 공석이 된 한국수력원자력 사장 자리에 대한 공모 절차가 이르면 이달 시작된다.

하지만 새 사장의 취임 시점이 내년 초로 예상되면서, 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전기본)에 포함된 신규 원전 건설 추진 여부 결정은 사실상 내년으로 미뤄질 전망이다.

정부와 원전 업계에 따르면 한수원은 이르면 이달 하순 임원추천위원회를 꾸리고 차기 사장 공모 절차에 착수할 방침이다.

공모 후에는 면접 심사, 기획재정부 공공기관운영위원회 심의, 한수원 이사회 의결,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제청, 대통령 임명 절차를 거친다.

통상 임추위 구성부터 임명까지 최소 2개월 이상이 소요돼, 새 사장은 내년 1월 이후 업무에 착수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박원석 전 한국원자력연구원장, 이정윤 원자력안전과미래 대표, 한병섭 원자력안전방재연구소 이사 등이 유력 후보군으로 거론된다.

신임 사장은 국내 신규 원전 건설 추진과 해외 수출 전략 등 복잡한 현안을 해결해야 한다. 11차 전기본에는 2037년과 2038년에 각각 1.4GW급 대형 원전 2기, 2035~2036년에 소형모듈원자로(SMR) 1기를 도입하는 계획이 담겨 있다.

원전 건설에 통상 10년 이상이 걸리는 점을 감안하면, 부지 선정 작업은 이미 시작됐어야 한다.

그러나 이재명 정부는 출범 이후 ‘합리적 에너지 믹스’를 표방하며 신규 원전 건설 결정을 유보하고 있다.

김성환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은 최근 국정감사에서 “신규 원전 건설 절차를 시작할지는 한수원이 알아서 할 문제”라며 명확한 입장을 피했다.

이재명 대통령도 지난 9월 취임 100일 기자회견에서 “내가 보기에는 거의 실현 가능성이 없다”고 밝혀 사실상 ‘탈원전 회귀’라는 해석이 나온다.

원전 업계 관계자는 “정부가 신규 원전에 부정적 방향성을 선명하게 보이는 상황에서, 대행 체제인 현재 한수원 경영진이 내릴 수 있는 사안이 아니다”고 말했다.

대외적으로는 웨스팅하우스와의 지식재산권 분쟁 합의 이후 ‘불공정 합의’ 논란이 이어지는 가운데, 체코 등 해외 수출 전략을 다시 세워야 하는 과제도 남았다.

특히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원전 확대를 추진하며 한국 기업의 참여를 요청하고 있어, 한수원이 미국 시장 진출을 검토할지도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