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노총 찾아 “작업중지권 확대”…정청래, 노동계 밀착 행보 노림수
[더퍼블릭=김종연 기자]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6일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을 방문해 “노동자 작업중지권 확대 입법에 속도를 내겠다”고 밝히며 또다시 노동계 밀착 행보에 나섰다.
정 대표는 이날 서울 중구 민주노총 회관에서 열린 ‘민주노총-민주당 정책간담회’에서 “노동자가 스스로 생명과 안전을 지키기 위해 꼭 필요한 입법 과제”라며 “근로감독관 2000명 증원과 일터 지킴이 신설 등 정부 계획이 신속히 추진되도록 당에서 적극 뒷받침하겠다”고 말했다.
정 대표는 이어 “법정 정년을 65세로 단계적으로 인상하는 문제 역시 정부 국정과제로 반영된 만큼, 노동계 의견을 경청하겠다”고 언급했다.
하지만 정 대표의 이 같은 발언은 최근 민주노총이 ‘내란 수괴 구속’ ‘정권 교체’ 등 정치적 발언을 이어가는 가운데 나온 것이어서 논란이 일고 있다.
이날 간담회에서 양경수 민주노총 위원장은 “내란 수괴가 구속되고 정권이 바뀌었지만, 서민이 체감하는 변화가 없다”며 “국회가 내란 세력과 말싸움으로 시간 낭비할 게 아니라 민생·사회 의제에 집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플랫폼 노동자 보호, 초기업 교섭, 5인 미만 사업장 근로기준법 적용 확대 등 현안이 산적해 있다”고 요구했다.
정치권 안팎에서는 정 대표의 행보를 두고 “노동계 표심에만 매달리는 포퓰리즘적 접근”이라는 비판이 제기된다.
특히 민주노총이 각종 불법 집회와 과격 시위를 주도하며 사회적 논란의 중심에 서 있는 상황에서, 제1야당 대표가 공개적으로 ‘작업중지권 확대’ 등 노조의 최대 숙원 과제를 추진하겠다고 나선 것은 “명백한 코드 정치”라는 지적이다.
한 여권 관계자는 “내란특검 수사와 전국민적 분노가 계속되는 가운데, 민주당이 민생보다 ‘노조 결속’에 힘을 쏟고 있다”며 “정청래 대표의 민주노총 행보는 국민보다 조직의 이해를 앞세운 전형적 구태정치”라고 비판했다.
정 대표의 ‘민주노총식 노동정책’이 실제 입법으로 이어질 경우, 기업 현장의 혼란과 노사 갈등이 재연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경제계 관계자는 “작업중지권 남용은 산업현장 생산성에 큰 타격을 준다”며 “이재명 정부가 추진하는 정년 연장과 맞물려 기업 경쟁력을 갉아먹을 것”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