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달러 흐름 속 원달러 환율 1450원 '터치'…"외인 매도세 이어지면 환율 더 오른다"

美 기준금리 인하 불확실성에 위험회피 심리 가중 미국 '셧다운' 해제 시 환율 하락 전환할 수도

2025-11-06     안은혜 기자
코스피가 급락한 5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에서 딜러가 업무를 보고 있다.(사진=연합뉴스)

[더퍼블릭=안은혜 기자]최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금리 경로 불확실성이 확대되면서 위험회피 심리까지 확산하면서 달러 강세 흐름이 나타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원/달러 환율이 1450원을 '터치'했다. 

외국인 투자자들은 이틀 연속 국내 증시에서 2조원 넘게 순매도하며 원·달러 환율 상승을 자극했다. 외국인 투자자의 대규모 순매도가 이어질 경우 이같은 흐름이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전날(5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 종가보다 11.5원 오른 1449.4원에 마감했다. 이는 지난 4월 11일(1449.9원) 이후 약 7개월 만의 최고치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기준금리 인하에 대한 불확실성과 월가의 미국 증시 고평가 우려가 달러화 강세를 자극했다.

이날 환율은 1443.5원에 거래를 시작해 장초반부터 상승폭을 키웠다. 이후 등락을 반복하다 오후 3시 28분께 1450원을 찍었다. 장중 1450원 돌파는 지난 4월 11일(고가 1457.2원) 이후 처음이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전일보다 0.33% 오른 100.136 수준으로, 지난 5월20일(100.12) 이후 약 5개월 만에 100선을 다시 넘었다. 

전문가들은 연준의 다음 달 금리 인하가 불확실해지면서 위험자산에 대한 투자심리가 위축되고 반대로 안전자산인 달러화 가치가 급등했다고 분석한다. 

미 연방정부의 셧다운(업무 일시 정지) 기간이 역대 최장기간(35일)을 넘어선 것과 연방대법원의 관세 관련 판결도 불확실성을 키우고 있다. 미 투자은행 골드만삭스 등은 미 주식의 조정 가능성을 경고하고 있다.

원화 가치 하락은 국내 주식시장에도 영향을 미쳤다. 이날 외국인투자자는 코스피에서 2조5100억원어치를 순매도했다.

위재현 NH선물 연구원은 “이번 달러화 반등은 지난해와 달리 미국의 강한 경기에 대한 기대감보다는, 미국 주식을 포함한 위험자산 전반에서 매도세가 이어지며 나타난 ‘안전자산 선호’ 현상의 결과”라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달러 유동성을 보여주는 여러 지표에서 긴축 압력이 다소 완화되긴 했지만, 미 연준의 직접 개입이 없을 경우 미국 셧다운(일시적 정부 업무 중단) 불확실성이 해소되기 전까지 달러 강세 압력은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다만, 미국 셧다운이 해제되고 고용 둔화 시그널이 재확인되면 원·달러 환율은 다시 하락 전환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