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제 풀리자 속도 붙은 미아2구역…4000가구 대단지로 ‘재도약’
[더퍼블릭=홍찬영 기자] 서울 강북구 미아2구역이 서울시의 재정비촉진지구(재촉지구) 규제 철폐 1호 사업지로 지정되면서 정체됐던 재개발 사업에 속도가 붙고 있다.
용적률 상향 등 규제 완화를 통해 사업성이 개선되면서, 총 4000가구 규모의 대단지로 탈바꿈할 전망이다. 다만 공사비 상승으로 인한 조합원 분담금 부담이 여전히 변수로 꼽힌다.
4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미아2구역은 최근 재정비촉진계획 변경을 통해 용적률을 기존 261%에서 310%로 상향했다. 이에 따라 공급 세대수는 3519가구에서 4003가구로 확대됐다.
서울시는 이번 조치를 통해 용적률 증가와 공공기여 완화, 사업성 보정 인센티브를 적용해 가구당 분담금을 약 1억원가량 절감할 수 있을 것이라고 봤다.
미아2구역은 2010년 재정비촉진구역으로 지정된 이후 주민 갈등과 경기 침체로 장기간 정체돼 왔다. 그러나 올해 7월 서울시가 재정비촉진사업 정상화를 위해 ‘규제 혁신 방안’을 마련하면서 사업 추진이 본궤도에 올랐다.
서울시는 재촉지구 내 사업 지연의 주요 원인이던 용적률 제한·공공기여 비율·층수 규제 등을 완화해 사업성 제고 효과를 노렸다.
이번 사업이 완료되면 미아3·4구역과 연계돼 강북권 최대 규모의 미니신도시급 주거벨트가 조성될 전망이다.
특히 미아2구역은 4호선 미아사거리역과 우이신설선 삼양사거리역이 인접하고, 2027년 개통 예정인 동북선 경전철이 지나 교통 접근성도 크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다만 사업 속도에 비해 조합원 분담금 부담은 여전히 과제로 남는다. 최근 자재비와 인건비 상승으로 서울 주요 정비사업장의 추가 분담금이 5억~8억원대까지 확대되는 상황에서, 미아2구역 역시 최대 9억원 수준의 부담이 발생할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전문가들은 “규제 완화로 사업성이 개선되더라도, 공사비 상승분이 이를 상쇄할 수 있는 수준은 아니다”라며 “원주민 재정착률 제고와 금융지원 확대 등 후속 조치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서울시는 조합원 부담을 줄이기 위해 공공기여 완화, 분양 물량 확대, 신속통합기획 등을 병행해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미아2구역은 규제 완화 효과가 가장 먼저 체감되는 사례로, 사업이 장기화되며 발생하는 금융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신속히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