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수의향서 제출로 ‘한 숨’ 돌렸지만…홈플러스 사태 두고 ‘사모펀드’ 비판 거세지나
[더퍼블릭=김미희 기자]홈플러스가 지난 2일부터 31일 오후 3시까지 인수의향서를 접수한 결과 AI업체인 하렉스인포텍 등 두 곳이 인수의향서를 낸 것으로 파악됐다. 이번 국정감사에서 인수 후보로 거론된 농협은 인수의향서를 제출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된 가운데 홈플러스는 한 숨 돌리는 분위기다.
홈플러스는 금일부터 21일까지 예비 실사를 거쳐 같은 달 26일 최종 입찰서를 받을 계획이다.
매각 주간사인 삼일회계법인은 접수된 인수의향서와 자금조달, 사업계획을 검토한 후, 의향서를 제출한 곳들과 실사를 위한 비밀준수협약(NDA)을 체결할 예정이다.
아울러 최종입찰일 이전까지 매수 희망자들이 더 나타나면 협의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매각은 구주 중 우선주를 제외하고 대주주인 MBK 파트너스가 보유하고 있는 보통주 전량을 무상소각하고, 신주를 발행해 제3자가 인수하는 방식으로 추진된다.
이처럼 대형 유통사인 홈플러스가 기업회생(법정관리) 절차를 밟고 있는 가운데 홈플러스의 이 같은 사태는 전형적인 사모펀드의 특징인 동시에 대주주가 책임을지지 않았다는 비판이 거셌다.
특히 대주주의 경우 사재출연 등을 통한 책임경영을 이어나가는 반면 MBK파트너스 같은 사모펀드 들은 기업을 인수한 뒤 경영 정상화를 통해 몸값을 높이고 비싼 값에 되팔아 수익을 내는 구조이기는 하지만, 경영 정상화보다는 인수한 회사의 자산을 매각해 빚을 갚고 ‘이익을 극대화’ 하는 것에만 초점을 맞춘 것 아니냐는 평가가 나오는 것이다.
3일 이코노미스트 보도에 따르면 당시 국내 M&A 사상 최대 규모의 거래로 주목받았던 홈플러스 인수는 인수금액 중 상당 부분이 차입(레버리지)으로 조달됐다는 점이 알려지면서 많은 우려를 낳았다고 전했다. 이에 홈플러스가 벌어들인 영업이익으로 이자와 원금을 갚아야 하는데, 차입금이 너무 많다 보니 감당하기 어려울 수 있다는 것이었다.
실제 홈플러스는 부채를 줄이기 위해 자산을 매각하는 ‘세일 앤 리스백’ 전략을 현실화한 것으로 알려졌다. 자금을 확보하려고 알짜 점포·부지를 팔고 비싼 월세를 지불하면서 버텼다.
그러나 실적 부진이 이어지고 영업이익이 감소하는 와중에 고정비가 늘자 사업성은 더 악화했다. 그 사이 홈플러스를 다시 매각하려던 MBK의 계획은 이뤄지지 않았다.
실제로 지난달 14일 국회 정무위원회의 홈플러스 사태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출석한 MBK 김광일 부회장은 ‘사재 출연이 아니라 M&A만이 홈플러스를 회생시키는 길이라고 보는가’라는 질의에 대해 “M&A(매각)가 성사되는 것만이 홈플러스가 살 수 있는 방법”이라며 “M&A를 성사하게 시켜야 하니 많이 도와달라”고 발언하기도 했다.
MBK와 홈플러스는 지난달 2일 우선협상 대상자부터 찾는 ‘스토킹 호스’ 방식을 포기하고 공개경쟁 입찰 공고를 냈다. 이번 달 말까지 신청서를 받으며, 여기서 인수 희망자를 찾지 못하면 홈플러스는 최악의 경우 법원 결정에 따라 기업 청산을 해야 한다.
당시 ‘M&A를 도와달라’는 김 회장의 발언은 국감장에서 질타받았다. 자사 수익을 위해 인수한 회사의 회생 책임을 회피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