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장차관도 유튜버”… 이재명 정부, SNS 소통 지시 논란
정책 홍보 명분 속 ‘홍보 과잉·정치화’ 우려… 과거 극우 비판했던 민주당, 자기모순도
[더퍼블릭=김종연 기자] 이재명 정부가 ‘국민과의 소통’을 내세워 고위 공직자들에게 유튜브와 SNS 개설을 사실상 지시했다는 말이 관가 안팎에서 돌고 있다. 대통령실이 문화체육관광부를 거쳐 각 부처에 “SNS를 통한 정책 홍보를 강화하라”는 지침을 전달했다는 것이다. 공식 확인은 없지만 장·차관은 물론 국장급 공무원들까지 줄줄이 카메라 앞에 서고 있다.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유튜브 채널 ‘삼프로TV’에 출연해 한미 관세협상 비화를 공개했고, 구윤철 부총리는 ‘경읽남’(경제 읽어주는 남자) 채널에서 직접 경제정책을 해명했다. 김민석 국무총리를 비롯해 윤호중·김성환·김영훈·김윤덕·전재수 장관 등도 각자 ‘○○TV’를 개설했다. 관가에서는 “이제 장차관도 유튜버 시대”라는 말이 나올 정도다.
정부는 “SNS는 적은 예산으로 큰 효과를 낼 수 있는 고효율 홍보수단”이라며 긍정적으로 평가한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불필요한 홍보 예산을 줄이면서 국민과 직접 소통하자는 취지”라고 했다.
하지만 공직사회 내부에서는 “공적 신분으로 사적 플랫폼을 운영하는 건 모순”이라는 비판이 나온다. 한 경제부처 국장은 “조회수 경쟁에 매달리다 본업이 흔들릴까 걱정”이라며 “정치인 출신이 아닌 관료에게 SNS는 익숙하지 않은 영역”이라고 했다. 이상경 전 국토부 차관이 “집값 떨어지면 사라”는 유튜브 발언으로 논란 끝에 사퇴한 일도 대표적이다.
SNS를 통한 소통 강화가 ‘정책 홍보’로 남을지, ‘정치 행보’로 변질될지 우려도 제기된다. 한 중견 관료는 “조금만 말이 어긋나면 여론의 재판대에 오른다”며 “SNS가 행정의 무대가 될 수는 없다”고 했다.
이 같은 ‘SNS 행정’ 기조를 두고 정치권 일각에서는 “민주당의 자기모순”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이재명 대통령이 야당 대표 시절이던 2023년, 민주당은 보수 유튜버 출신 인사를 두고 “극우 선동 세력”이라며 맹비난했다. 장경태 최고위원은 당시 김채환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장 내정자의 유튜브 채널을 거론하며 “‘문재인 군 생체실험’, ‘세월호 이태원 굿판’ 같은 자극적 허위 내용으로 극우층을 선동했다”고 비판했고, 서영교 최고위원은 “쓰레기 수준”이라 직격했다. 이재명 대표 역시 “나라 전체가 극우로 변해간다”며 윤석열 정권을 비난한 바 있다.
그랬던 민주당 정부가 이제는 장차관까지 유튜브에 내몰고 있으니, “정권이 바뀌니 잣대도 달라졌다”는 말이 관가에서 흘러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