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급과잉 그늘 짙어진 석화업계…대산산단, 재편 첫 무대되나
[더퍼블릭=홍찬영 기자] 정부가 석유화학산업의 공급과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충남 대산석유화학단지를 시작으로 구조조정 작업에 착수한다.
글로벌 시장의 범용제품 공급이 급증하면서 스프레드(제품가격–원재료가격)가 축소되고, 업계 수익성이 악화된 데 따른 조치다.
28일 석화업계에 ᄄᆞ르면, 정부는 이르면 12월 초 대산산단에 대한 구조조정 방안을 발표할 예정이다. 첫 대상은 롯데케미칼과 HD현대케미칼이다. 양사는 대산단지 내 나프타분해시설(NCC)을 통합해 중복 설비를 축소하고 운영 효율을 높이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정부는 이 사례를 자율적 사업재편의 시범모델로 삼고 향후 전국 단위로 확대할 방침이다.
그간 국내 석유화학업계는 범용제품 경쟁력 유지를 위해 대규모 설비 증설을 지속해왔다. 그러나 중국을 중심으로 한 글로벌 증설이 이어지며 에틸렌·폴리에틸렌 등 주요 제품 가격이 급락했다. 나프타 가격은 국제유가 상승으로 불안정한 흐름을 보이면서 원가 부담이 가중됐다. 이에 따라 주요 기업들의 영업이익률은 1% 내외로 하락한 상태다.
정부는 이번 구조조정안에는 기업 간 중복투자를 줄이고 생산 효율을 높이는 방향으로 구조조정을 유도한다는 내용이 담김 것으로 알려졌다.
기업이 자발적으로 통합·감산 등 사업재편안을 제출하면 금융·세제·R&D 지원을 제공하고, 공정거래법상 기업결합 제한은 한시적으로 완화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반면 자구 노력이 없는 기업에는 지원이 제한된다.
대산산단 구조조정이 완료되면 울산·여수 등 다른 석유화학단지로 논의가 확산될 가능성이 높다. 울산에서는 대한유화·SK지오센트릭·에쓰오일이 컨설팅을 통해 재편 방안을 논의 중이며, 여수에서는 LG화학·GS칼텍스, 롯데케미칼·여천NCC 간 통합 가능성이 거론된다.
산업부는 이번 자율적 사업재편을 통해 공급 효율을 높이고, 낙후 설비를 친환경·고부가 소재 중심으로 전환한다는 목표다.
업계 관계자는 “현재와 같은 공급 과잉 환경에서 설비 증설은 수익성 악화로 직결된다”며 “대산산단의 사례가 향후 산업 재편의 기준점이 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