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 판’ 열리는 韓美·韓中·美中정상회담…전 세계 글로벌 리더들 방문에 ‘메시지’, ‘비즈니스 성과’ 주목
[더퍼블릭=김미희 기자]경주에서 개막하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 전 세계 경제를 이끄는 글로벌리더 1700여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이 자리에서 각종 비즈니스 협력 및 외교적 성과가 가시화될지 주목된다.
특히 공식 부대행사로 열릴 아시아 태평양 연례 비즈니스 포럼인 APEC CEO 서밋에서는 AI 거물인 젠슨 황 엔비디아 창립자 겸 CEO를 포함해 맷 가먼 AWS CEO, 사이먼 칸 구글 APAC 부사장, 사이먼 밀너 메타 부사장, 안토니 쿡·울리히 호만 마이크로소프트 부사장 등 글로벌 테크 리더들이 연사로 나서면서 ‘메시지’에도 시선이 쏠린다.
특히 젠슨 황 CEO는 마지막 날인 31일 특별 세션을 통해 AI, 로보틱스, 디지털 트윈, 자율주행 기술 등 전 세계의 기술 혁신과 성장을 가속하기 위한 엔비디아의 비전을 발표할 예정이다.
황 CEO의 공식 방한은 2010년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의 스타크래프트2 글로벌 출시 기념 파티 이후 처음이다.
APEC 서밋 세션에서 황 CEO는 인공지능(AI), 로보틱스, 디지털 트윈, 자율주행 기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한국을 포함한 전 세계의 기술 혁신과 성장을 가속하기 위한 엔비디아의 비전을 공유할 예정이다. 이어 같은 날 진행되는 미디어 행사는 이번 방한의 하이라이트가 될 것으로 보인다.
행사는 질문과 답변이 오가는 간담회 형태로 일반 세션보다 더 폭넓고 자유로운 주제들이 나올 수 있어서다. 황 CEO의 즉흥 발언 역시 주목할 만한 대목이다.
먼저 국내 언론을 중심으로 삼성전자·SK하이닉스와 같은 한국 반도체 회사들의 협력 상황과 국내 투자 계획 등이 주요 질문으로 거론될 가능성이 크다.
황 CEO뿐만 아니라 맷 가먼 아마존웹서비스(AWS) CEO, 사이먼 칸 구글 APAC 부사장, 사이먼 밀너 메타 부사장, 안토니 쿡·울리히 호만 마이크로소프트 부사장 등 글로벌 테크 리더들 연사로 나서 AI와 디지털 전환의 미래에 대해 의견을 교환한다.
이번 행사는 단순히 기업인 행사를 넘어 APEC 주요국 정상과 비즈니스 리더들의 교류의 장으로서 의미를 가진다. 당장,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방한을 계기로 대형 양자외교의 장도 펼쳐진다. 트럼프 대통령이 29일부터 1박 2일간,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30일부터 2박 3일간 국빈 방한하게 되는데, 미중 정상의 동시 국빈방문은 사상 처음이다.
이에 29일 오후에 예정된 트럼프 대통령과 이재명 대통령의 한미 정상회담에서는 그간 난항을 빚어온 한미 관세협상이 마무리되고 ‘안보 패키지’까지 매듭지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
APEC 정상회의에 앞서 오는 29~30일 방한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9일 APEC CEO 서밋 행사장에서 기업인들을 상대로 특별 연설에 나설 예정이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 등도 CEO 서밋 중 별도 세션을 마련할 가능성이 있다.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부 장관은 최근 주한미국대사관을 통해 오는 29일 경주에서 국내 주요 그룹 총수들과 만찬을 갖자고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자리에는 이재용 회장, 최태원 회장, 정의선 회장, 구광모 회장뿐만 아니라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 정기선 HD현대 회장 등 반도체와 자동차, 조선과 방산을 아우르는 국내 대표 기업 총수들이 함께할 것으로 예상된다.
행사 참가 기업들은 APEC 정상 및 장관과의 1대1 비즈니스 미팅을 통해 투자·협력 기회를 발굴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