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 대출 규제하자 이번에는 ‘차담대’…금융사 ‘부실’ 부르나

2025-10-23     김미희 기자

[더퍼블릭=김미희 기자]미국에서도 주로 신용도가 낮은 소비자를 상대로 자동차 담보대출을 해온 트라이컬러 업체가 미 당국의 조사를 받는 와중 파산하면서 금융시장의 느슨해진 대출 관행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최근 우리나라 또한 대출 조이기가 이어지면서 이 같은 자동차 담보대출이 늘어나는 것을고 알려졌다. 저축은행 자동차담보대출은 신용점수만으로는 원하는 만큼 대출을 받기 어려운 차주들이 소유 자동차를 담보로 한도를 늘리려고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당장 저축은행, 상호금융 등 서민금융기관들의 대출 문턱이 높아지면서 자동차 담보 대출 신청이 크게 늘어난 것이다.

19일 국민의힘 김상훈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6·27 대출 규제 시행 이후 약 두 달간 저축은행에 접수된 개인 자동차담보대출 신청은 총 24만8000건으로 집계됐다. 영업일 기준 일평균 5636건으로, 대출 규제 이전인 올해 1∼5월 일평균 신청 건수인 2230건보다 약 150% 늘어났다.

같은 기간 일평균 대출 취급액도 67억9000만원에서 84억9000만원으로 약 25% 증가했다.

이는 최근 강도 높은 대출 규제로 2금융권의 대출 문턱이 높아지자 신용도가 낮은 차주들이 자동차담보대출로 몰린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같은 기간 저축은행의 개인신용대출 일평균 취급 건수는 4930건에서 3614건으로 약 27% 감소했고, 상호금융 역시 500건에서 409건으로 약 18% 줄었다.

자동차담보대출을 취급하는 한 대형 저축은행 관계자는 “대출 규제로 개인 신용대출을 적극적으로 늘릴 수 없는 상황”이라면서 “자동차담보대출 상품에 관심을 갖는 업체들도 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같은 서민금융을 담당하는 2금융권의 가계대출 기능이 위축되면서, 자영업자와 서민층이 대부업이나 불법사금융으로 내몰릴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현재 갭투자 등을 막기 위해 대출이 제한되는 상태이지만, 생계 대출 등이 불가능하면 사금융으로 전환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저축은행 등도 잠재적으로 부실을 겪을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자동차는 시간이 지날수록 가치가 떨어지는 감가자산이라는 점이다. 담보 가치 하락 속도가 빠르면 채권 회수가 어려워지고, 차량 관리가 부실할 경우 부실 위험이 커질 수 있다. 교통사고나 파손 등 돌발 변수로 담보력이 떨어지면 금융회사가 직접 손실을 떠안을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23일 데일리안 보도에 따르면 서지용 상명대 경영학부 교수는 “신용대출 규제로 인해 차담대 이용자가 늘어나면서 서민 금융 취약계층의 대출 창구로서 역할이 커졌지만, 그만큼 금융사 부실 가능성도 커졌다”며 “정부 정책금융 공급이 줄어든 상황에서 차담대의 부실 우려는 중저신용자 금융 접근성 문제와 맞물려 복합적인 금융 안정성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