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지 둘러싼 의혹 확산… 녹음파일·전과·허위보도 공방 난타전

2025-10-17     김종연 기자
김현지 대통령실 제1부속실장이 2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수석보좌관회의에 참석해 있다. 2025.10.2. /사진 = 연합뉴스

 

[더퍼블릭=김종연 기자] 이재명 대통령의 최측근으로 꼽히는 김현지 대통령실 제1부속실장을 둘러싼 의혹이 16일 하루 종일 정치권을 강타했다. 여당과 야당, 그리고 유튜브 채널까지 가세하면서 ‘김현지 리스크’가 정권 핵심부를 흔들고 있다는 말이 국회 안팎에서 흘러나온다.

더불어민주당은 익명의 제보를 근거로 김 실장의 사생활을 보도한 인터넷 매체를 허위·조작 혐의로 경찰에 고발했고, 국민의힘은 김 실장이 이 대통령의 선거자금을 관리했다는 취지의 녹음파일을 공개하며 “권력의 돈줄을 쥔 실세”라고 공격했다.
 

민주당 “허위보도, 인격살인 수준”… 경찰 고발

민주당은 이날 오후 서울경찰청에 한 인터넷 매체 ‘한미일보’를 고발했다. 이 매체는 지난 13일 익명의 제보를 인용해 “김 실장의 아들이 유력 정치인을 닮았고, 현재 싱가포르에서 유학 중”이라는 내용을 보도했다.

해당 매체는 기사 말미에 “제보의 신빙성은 확인되지 않았다”고 덧붙였지만, 제보자가 이재명 대통령 주변 인물에 대해 ‘심도 깊은 내용을 파악한 인물’이라고 설명했다.

민주당은 이를 “검증되지 않은 인신공격성 보도”로 판단한 것.

전용기 민주당 국민소통위원장은 기자회견에서 “김 실장을 향한 불륜·혼외자·간첩 의혹 등은 모두 허위”라며 “정보통신망법 위반 및 명예훼손 혐의로 고발했다”고 밝혔다. 그는 “이는 악의적 허위사실 유포이자 명백한 인격살인”이라고 말했다.
 

국민의힘 “권력의 돈줄 쥔 실세”… 녹음파일 등장

국민의힘은 반대로 ‘권력형 의혹’을 정조준했다. 최은석 원내수석대변인은 이날 논평에서 “김 실장은 단순한 보좌관이 아니다. 권력의 돈줄을 틀어쥔 그림자 실세였다”며 “이재명 대통령의 선거자금과 공천 과정까지 관여한 정황이 드러났다”고 주장했다.

그가 언급한 것은 유튜버 백광현 씨가 이날 공개한 7분가량의 녹음파일이다.

파일 속 인물은 “정확히 지정을 해줘야 보고하고 통장 관리를 맡긴다”, “우리 도지사 선거 때도 20억 차입했어요”, “500억짜리 선거를 하면 당에서 200억 내고 펀드 300억 한다는데” 등의 발언을 한다.

백 씨는 “해당 음성이 2022년 대선을 앞두고 당시 경기도청 소속으로 이재명 지사를 도운 김현지 실장의 목소리”라고 주장했지만, 음성의 진위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대통령실 역시 공식 입장을 내지 않고 있다.
 

“성남 괴문자 사건” 과거 전력도 재조명

국민의힘은 김 실장의 과거 전력도 문제 삼았다. 이덕수 성남시의원은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김 실장은 과거 ‘성남 괴문자 정치공작’ 사건의 당사자였다”며 “성남 시정농단, 경기도정 농단을 넘어 이제 국정농단 의혹까지 받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가 제시한 판결문에 따르면, 수원지법 성남지원은 2013년 김 실장에게 정보통신망법 위반 혐의로 벌금 150만원을 선고했다.

당시 김 실장은 시민단체 간부로 있으면서 “성남 새누리당 성추행” 등의 허위 문자 3만여 건을 무차별 전송한 혐의를 받았다.

이덕수 의원은 이 사건으로 민사소송에서도 승소해 손해배상 500만원을 받은 바 있다.
 

국회 증인 채택도 ‘폭풍전야’

여야는 김 실장의 국정감사 증인 채택을 두고도 정면충돌 중이다.

김 실장이 소속된 대통령실의 소관 상임위는 국회 운영위원회지만, 지난 15일 예정됐던 운영위 전체회의는 민주당 요구로 돌연 연기됐다.

국민의힘은 “여당이 대통령실 핵심을 비호하기 위해 국감을 회피하고 있다”고 비판했고, 민주당은 “사생활 침해를 노린 정치공세”라고 반박했다.

정치권 일각에선 “이재명 정부의 실세로 알려진 김현지 실장을 둘러싼 의혹이 점점 커지고 있다”며 “이번 사안이 정권의 도덕성과 공정성을 흔드는 뇌관이 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녹음파일의 진위, 과거 전력의 영향, 그리고 대통령실의 침묵이라는 세 가지 미확인 퍼즐이 얽히며 의혹의 냄새는 더욱 짙어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