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추가대책’ 발표 앞두고 집주인들, ‘매물’ 싹 거둬들였다

2025-10-14     김미희 기자

[더퍼블릭=김미희 기자]정부가 최근 서울 한강벨트와 경기 일부 지역 등의 아파트 가격 상승세에 대응하고자 규제지역 확대 등 추가 대책을 조만간 발표할 것으로 보인다.

여당인 더불어민주당과 정부, 대통령실은 12일 고위 당정협의회를 열어 서울·경기지역 집값 과열 양상에 대응할 방안을 논의했다. 정리된 대책은 이번 주 중 발표될 전망이다.

주택담보대출 상한을 6억원으로 묶는 6·27 대출규제의 효과가 약해진 데 이어 9·7 공급대책 발표 이후에도 비규제지역인 서울 성동구, 마포구, 광진구 등 한강 벨트 지역과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등의 가격 상승폭 확대가 커지고 있다. 여기에 법원 경매시장으로도 발길이 몰리는 형국이다.

다만, 당정이 만나 이번주 내 근본적인 종합 대책을 발표하겠다고 밝히면서 매물이 빠르게 사라지고 있다.

14일 아시아경제 보도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물이 규제 발표를 앞두고 빠르게 급감하고 있다. 13일 부동산 플랫폼 ‘아실’에 따르면 이날 기준 서울 아파트 매물은 7만1723건으로 집계됐다. 한 달 전 7만9276건에 비해 9.6% 감소한 수치다.

이는 2023년 10월(7만690건)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6·27 대출 규제 직전 7만6000건대였던 서울 매물은 9·7 공급대책 직후 일시적으로 7만9000건을 넘기도 했다. 그러나 이달 들어 급격히 감소하며 7만 초반대까지 주저앉았다.

한 달 동안 성동구는 매물이 22.9%(1934→1493건) 줄며 감소율 1위를 기록했다. 광진구(-21.0%), 동작구(-17.3%), 양천구(-15.7%), 마포구(-14.9%), 영등포구(-14.3%), 강동구(-14.2%) 등도 급감했다.

이들 지역은 모두 문재인 정부 시절 고점을 넘은 곳으로, 규제 가능성이 거론되는 핵심 지역이다. 이밖에 동대문구(-19.2%), 송파구(-14.8%), 강서구(-12.7%) 등도 매물 감소세가 뚜렷하다.

정부가 검토 중인 유력한 카드는 조정대상지역, 투기과열지구 등 규제지역 확대다. 정부는 앞서 6·27 대출 규제 전에도 막판까지 규제지역 확대를 검토했지만 대출 규제의 효과를 먼저 살펴보겠다며 규제지역 지정을 미뤘다.

그러나 대출 규제만으로는 강남3구 거래 감소 외에 ‘똘똘한 한 채’를 찾아 몰려드는 수요를 차단하기에는 역부족이었다.

특히 규제가 없는 한강벨트는 강남3구 진입이 어려운 실수요자들에게는 마지막 갭투자 기회로 여겨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