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업계 수장들 줄소환...새 정부 후 첫 국감 앞두고 유통가 ‘폭풍전야’

2025-10-03     유수진 기자
여의도 국회의사당 [사진제공=연합뉴스]

[더퍼블릭=유수진 기자] 추석 연휴 이후 시작되는 국정감사를 앞두고 유통업계 수장들이 줄줄이 국회에 소환될 전망이다. 불공정 거래, 고리대금 논란, 가맹점 보복 조치, 환경·노동 문제까지 다양한 현안이 겹치면서 각 기업 대관팀은 추석 연휴 내내 국회를 오가며 대응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1일 국회에 따르면 정무위원회와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산자위)는 국감 증인으로 주요 유통기업 인사들을 채택했다.

정무위는 ▲홈플러스 ▲쿠팡 ▲배달의민족 ▲CJ올리브영 ▲교촌치킨 ▲명륜당 ▲다이소 ▲신세계 ▲현대백화점 ▲무신사 등을 증인 명단에 올렸다. 온·오프라인을 막론하고 소비자 생활과 직결된 기업들이 국감의 집중 타깃이 셈이다.

기업별 쟁점도 다양하다. 홈플러스는 기업회생 과정에서 발생한 협력업체 피해, 쿠팡은 ‘선공제 후정산’ 구조로 인한 수수료 체계와 납품업체 거래 관행이 문제로 지적된다.

무신사는 W컨셉을 대상으로 플랫폼과 판매자 간 거래 공정성을 다이소는 중소기업 제품 모방 화장품 출시 등 납품 업체에 대한 불공정 행위 의혹이 도마에 오른다. 특히 무신사와 다이소 대표가 국감 증인으로 채택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치킨 프랜차이즈 교촌에프앤비는 가맹점 보복 조치, 치킨 중량 축소와 우회 가격 인상 논란 등으로 집중 추궁을 받을 예정이다.

신세계는 최근 알리바바그룹과의 기업결합 건과 관련 온라인 플랫폼의 국내 소비자 정보 보호 실태를 확인할 방침이다. 공정위는 지난달 소비자 정보 보호 조치를 조건으로 기업결합을 승인한 바 있으며, 이를 두고 해당 운영 방안과 관리 실태가 국감 도마위에 으르게 될 것으로 보인다.

CJ올리브영은 올해에도 점포별 매출 할당 및 직원 구매 강요 등 갑질 관련 문제로 국감 도마 위에 오른다. 쿠팡도 쿠팡플래이 스포츠 패스, 온라인 플랫폼 불공정 거래 관련 현안으롤 국회 출석 요구를 받았다.

배달의민족은 논의 중인 수수료 상한제의 실효성과 라이더 처우 개선여부가. 명륜당은 불법 대부업 논란으로 국감에 출석한다.

현대백화점은 올해 초 ‘농약 우롱차 사태’로 출석 대상이 됐다. 당시 입점 업체가 해외에서 불법 반입한 우롱차에서 기준치를 초과한 농약 성분이 검출돼 논란이 일었다.

이번 국감은 새 정부 출범 이후 처음 열리는 만큼 국민적 관심이 높다. 특히 국민 생활과 밀접하게 연결된 유통업계가 대거 증인 명단에 포함되면서, 각 기업 수장들의 발언과 태도에 이목이 집중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