캠리보다 1000달러 비싸진 쏘나타… 韓日 자동차 관세 역전됐다
美, 일본차 관세 27.5%→15% 인하… 한국차는 25% 유지 현대·기아, 연간 3조 5000억원 영업 이익 감소 전망 3500억 달러 대미 투자 조건 놓고 한미 협상 교착
[더퍼블릭=양원모 기자] 미국 시장에서 현대 쏘나타가 토요타 캠리보다 약 1000달러 비싸지는 가격 역전 현상이 현실화됐다. 미국 정부가 16일(현지 시각)부터 일본산 자동차에 대한 관세를 15%로 인하하면서, 한국산 자동차와 10%p의 관세 격차가 발생했기 때문이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는 미국 동부 시간으로 16일 0시 1분부터 일본산 자동차 관세를 기존 27.5%에서 15%로 인하해 발효했다. 기존 기본 관세 2.5%에 품목별 관세 25%를 더해 총 27.5%의 관세를 적용받던 것에서 12.5%p 낮아진 수치다. 일본은 지난 7월 22일 미국과 15% 관세에 최종 합의했고, 약 두 달 만에 공식 발효됐다.
반면, 한국산 자동차는 여전히 25%의 높은 품목별 관세 장벽에 막혀있다. 한국 정부 역시 지난 7월 31일 미국과 큰 틀에서 무역 합의를 이뤘지만, 세부 사항에 대한 이견으로 최종 타결이 지연되고 있다.
이번 발효 미국 시장에서 한국차의 가격 경쟁력이 완전히 뒤집혔다. 미국 자동차 전문 매체 에드먼드가 공개한 버지니아주(州) 기준 2025년식 자동차 권장 소비자 가격을 보면, 현대 쏘나타는 2만 8145달러로 토요타 캠리보다 약 1750달러 저렴했다. 하지만 10%p의 관세 격차가 발생하면서 이제는 쏘나타가 캠리보다 약 1000달러 비싸진 상황이 됐다.
그간 현대차·기아는 경쟁사 대비 저렴한 가격과 우수한 품질을 바탕으로 미국 시장 점유율을 꾸준히 높여왔다. 2021년 혼다를 제치고 5위에 오른 뒤 현재 4위까지 상승, 2위 토요타를 추격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번 관세 역전으로 그동안 노력이 물거품이 될 위기에 처했다.
업계 피해도 막대할 전망이다. 증권가 분석에 따르면 일본 자동차가 15% 관세를 적용받는 동안 한국 차량에 25% 관세가 지속될 경우 현대차는 연간 약 2조 2000억원, 기아는 1조 3000억원 수준의 영업 이익 감소가 예상된다. 자동차는 한국의 대미 수출 1위 제품으로,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10.4%에 달한다.
협상이 교착에 빠진 건 3500억 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 방식 때문이다. 미국은 해당 투자를 현금 출자 방식으로 진행하고, 투자금 회수 후 이익의 90%를 미국이 가져가는 일본과 비슷한 수준의 수익 배분 구조를 요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은 5500억 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와 미국이 수익의 90%를 가져가는 조건에 합의했다.
우리 정부는 이런 미국 요구에 '수용 불가' 입장을 분명히 하고 있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16일 오전 용산 대통령실에서 기자들과 만나 "시한에 쫓겨 기업들이 크게 손해 볼 일에 대통령이 사인할 수 없다"며 "협상 시한에 묶여 국익에 관한 대통령의 역할을 포기하지 않겠다는 의지는 확고하다"고 밝혔다. 정부는 최근 미국의 현금 출자 요구에 맞서 '한미 무제한 통화스와프' 체결을 역제안한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는 협상 타결을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에 이어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이 15일 미국으로 출국했다. 여 본부장은 워싱턴 덜레스 국제공항에서 취재진과 만나 "악마는 디테일에 있다. 디테일을 갖고 치열하게 협상하는 중"이라며 "국익에 최대한 부합하도록 합리적인 협상 결과를 만드는 게 가장 중요한 과제"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