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오라클 ‘깜짝 실적’에 반도체주 강세...S&P·나스닥 최고치 경신
[더퍼블릭=손세희 기자] 뉴욕증시 주요 지수가 10일(현지시간) 엇갈린 흐름으로 마감했다. 인공지능(AI) 반도체주 강세에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과 나스닥지수가 최고치를 갈아치운 반면, 다우지수는 하락했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20.42p0.48%) 내린 4만5490.92에 마감했다. 반면 S&P500지수는 19.43p(0.30%) 오른 6532.04, 나스닥지수는 6.57p(0.03%) 상승한 2만1886.06으로 거래를 마쳤다.
시장을 이끈 것은 미국 소프트웨어 및 클라우스 서비스 기업인 오라클의 깜 발표였다. 오라클은 잔여 이행 의무(수주 잔고)가 4550억달러로 전년 대비 359% 급증했다고 밝혔는데, 이는 월가가 예상했던 2배 증가 수준을 훨씬 웃도는 결과다. 또 2030 회계연도 클라우드 인프라 매출 목표를 2025년 전망치(103억달러)보다 10배 이상 늘어난 1440억달러로 제시했다.
오라클의 2분기 실적은 기대에 못 미쳤지만 초대형 성장 전망이 투자심리를 압도했다. 이날 오라클 주가는 36% 폭등하며 1992년 이후 최대 상승률을 기록했고, 장중 한때는 43% 넘게 치솟았다. 시가총액은 하루 만에 6800억달러에서 9222억달러로 불어났다. 공동 창업자 래리 엘리슨의 순자산도 1000억달러 이상 불어나 세계 부호 순위 최상단에 올랐다.
여기에 지난달 생산자물가지수(PPI) 둔화도 호재로 작용했다. 미 노동부에 따르면 8월 PPI는 전월 대비 0.1% 하락해 시장 예상치(0.3% 상승)를 크게 밑돌았다. 근원 PPI 역시 0.1% 감소해 전망(0.3% 상승)과 어긋났다. 전년 동월 대비 상승률은 각각 2.6%, 2.8%에 그쳤다.
오라클 효과로 AI 인프라 확대 기대가 커지면서 엔비디아(3.83%), 브로드컴(9.77%) 등 반도체주가 강세를 보였고,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2.38% 올랐다. 반면 애플은 신형 아이폰17 공개에도 3.23% 하락했고, 아마존도 3.32% 내렸다. 오라클의 클라우드 시장 점유율 확대 기대감이 아마존에 부담으로 작용했다는 분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