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지 않는 설비까지…SK AX, 디지털 트윈 기반 AX로 제조 운영 혁신 ‘가속’

2025-08-28     조두희 기자

[더퍼블릭=조두희 기자]SK AX는 28일 제조 산업 맞춤형 ‘AX 기반 배기 유틸리티 설비 디지털 트윈 플랫폼’ 구현에 나섰다고 밝혔다. 공장 운영에 핵심적인 유틸리티 설비에 AX를 도입, 눈에 띄지 않는 부분까지 제조 운영 혁신을 가속화 한다는 설명이다.

배기 유틸리티 설비는 제조 공정에서 발생하는 유해가스, 오염입자, 악취물질 등을 안전하게 처리하는 핵심 인프라다. 이 설비가 멈추면 공정 전체가 중단되거나 품질 저하, 환경 규제 위반, 인명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SK AX는 배기 장비, 덕트, 댐퍼, 압력계 등 배기 유틸리티 설비 전반을 3D로 시각화하고, IoT 센서, 영상 AI, 열화상 카메라 등에서 수집한 압력, 온도, 진동, 유해물질 농도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연동함으로써 실제 설비 상태와 동작을 가상 공간에서 그대로 재현한다.

이러한 디지털 트윈 플랫폼을 통해 설비 이상 징후를 조기에 감지하고, 공정 변경이나 운전 조건 변화에 따른 영향을 사전에 시뮬레이션해 선제적 대응이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배관 흐름, 압력 손실, 장비 간 병목 구간 등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어, 운영 리스크를 사전에 예측하고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트윈 플랫폼에서는 배기 팬 속도, 설비 가동 주기, 배기 압력 등과 같은 설비 운전 정보와 에너지 사용 패턴을 AI가 실시간으로 분석, 에너지 효율성이 가장 높은 운전 조건을 자동으로 제시해 ▲설비 사고발생 건수 최대 5% 감소 ▲운영·투자비 10% 이상 절감 ▲설비 운영 효율 25% 이상 향상 등의 성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디지털 트윈 플랫폼은 AX 기반 SHE(Safety·Health·Environment) 서비스와도 연계된다. 작업 전 위험 요소를 사전에 식별하고, 설비나 환경 변화에 따라 자동으로 경고·대응 체계를 가동해 작업자 안전성과 공정 안정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다. 배출가스·수질 등 환경 데이터를 실시간 시각화하고, 환경 기준 초과 가능성을 사전에 예측해 조치할 수 있어, 환경 리스크 대응은 물론 ESG 운영 수준도 높여 준다.

SK AX는 유틸리티 설비 디지털 트윈을 시작으로 전 공정 설비를 통합 관제하고 제어할 수 있는 제조 AX 체계로 플랫폼을 확장할 방침이다.

SK AX 김광수 제조서비스부문장은 “이번 디지털 트윈 플랫폼은 단순한 설비 구조 복제를 넘어, 데이터를 기반으로 설비를 운용하고 공정을 통제하는 실행형 제조 AX 대표 사례”라며 “눈에 보이지 않던 설비까지 AX로 전환해 고객이 수율을 높이고 리스크를 줄이며, 환경 규제에도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