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초대로 ‘옛 러시아 제국 땅’ 밟는 푸틴, ‘알래스카 회담’서 ‘주도권’ 장악하나
1867년 러시아에 ‘헐값’으로 사들인 ‘알래스카’에서 회담 진행하는 트럼프. ‘조바심’ 평가도
[더퍼블릭=김미희 기자]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15일(현지시간) ‘알래스카 회담’을 진행할 예정이다.
이를 두고 우크라이나 전쟁이 ‘휴전’ 내지는 ‘종전’ 가능성에 관심이 쏠리는 반면 장소인 ‘알래스카’를 두고 평가가 엇갈리고 있다.
특히 ‘알래스카’를 선택한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경우 앞서 지난 2023년 국제형사재판소(ICC)로부터 전범 혐의 체포 영장이 발부된 상태다. 특히 푸틴 대통령의 경우 이번 회담을 위해 10년 만에 미국 땅을 밟게 된다.
알래스카가 비록 푸틴 대통령 입장에서 ‘홈그라운드’는 아니지만 1867년 미국에 매각하기 전까지 제정 러시아의 땅이었다는 점은 ‘회담 장소의 정치학’ 측면에서 주목할 대목이다.
대국간 현금 거래를 통해 소유권이 러시아에서 미국으로 넘어간 알래스카에 대해 푸틴 대통령으로선 ‘강대국간 세계 경영에서 영토 문제, 특히 제3국의 영토 문제는 신성불가침의 영역이 아니다’는 주장을 펴기 좋은 장소라고 여길 수 있기 때문이다.
러시아가 주권국가를 침공함으로써 유엔 헌장의 주권 존중 및 영토 보전 원칙을 침해했다는 국제사회 보편적 비판의 프레임을 트럼프 대통령 앞에서 강대국간 거래의 프레임으로 바꾸는 데 알래스카가 적합한 장소라는 판단을 할 수 있는 것이다.
결국 푸틴 대통령이 유엔 헌장 등 국제법 논리보다는 강대국 정치와 거래에 관심이 많은 트럼프 대통령에게 우크라이나가 구 소련의 일부였다는 점과, 미러 협력의 잠재력을 강조하며 자신들에게 유리한 협상의 구도를 만들 수 있다는 것이다.
11일 조선일보 보도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이 푸틴을 자국 영토로 ‘초대’하는 형식 자체가 회담 성사에 대한 트럼프의 조바심을 반영하고, 결과적으로 푸틴이 주도권을 장악하는 상황이 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고 전했다.
미국은 1867년 재정난을 겪던 러시아로부터 720만달러 ‘헐값’에 알래스카를 사들였고, ‘위대한 러시아’ 재건을 주장하는 러시아 민족주의자들은 미국으로부터 알래스카를 되찾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런 상황에서 푸틴이 ‘옛 러시아 제국 땅’을 밟는 모습 자체가 러시아에 이득이라는 분석이 나온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