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스피싱 범죄 표적으로 떠오른 강남3구…“휴대폰 앱 설치 유도는 모두 사기”
[더퍼블릭=김영일 기자] 한국의 대표적인 부촌으로 지목되는 서울 ‘강남 3구’가 보이스피싱 범죄의 주요 타깃으로 떠오르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 9일자 <조선일보> 보도에 따르면, 지난해 하반기(7~12월) 금융감독원에 신고된 2억원 이상 고액 보이스피싱 피해 사례를 집계한 결과, 서울 전체 피해액(301억 5000만원)의 33%는 강남·서초·송파 등 강남 3구에서 발생했다고 한다.
서울 25구 가운데 강남구에서 발생한 ‘고액 피해’가 차지하는 비율은 20.7%였다. 이는 과거 불특정 다수를 노린 보이스피싱이 유출 개인 정보를 활용한 맞춤형으로 진화하면서 고소득층이 많은 강남 지역에 피해가 집중되고 있는 것이다.
고액 피해자의 약 80%가 여성이었다. 자산이 많은 데다 주부인 경우가 많아 협박·회유를 통해 돈을 뜯는 과정에서 외부와 접촉할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는 점을 노린 것이란 분석이다.
이 가운데 60대 여성이 절반 이상이라고 한다. 이는 노후 자금이 풍부한 강남 노년층 중에서도 60대 여성이 보이스피싱의 주요 표적으로 떠오르고 있다는 것이다.
아울러 경찰청이 지난 8일 국민의힘 서범수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를 보면, 올해 1~7월 서울 일선 경찰서에 접수된 보이스피싱 사건 3818건 중 820건(21.4%)이 강남 3구에서 발생했다고 한다. 강남구(357건), 서초구(239건), 송파구(224건) 순서였다.
보이스피싱 사건을 주로 담당하는 서울 지역 한 검사는 <조선일보>에 “휴대폰 문자나 소셜미디어보다 전화를 자주 사용하면서도, 집에 주로 있는 여성 고령층이 보이스피싱 피해를 많이 본다”고 했다.
이와 관련, 올해 상반기(1~6월) 보이스피싱 피해자 1만 2339명 중 3800명(30.8%)이 60대 이상 고령층이었고, 특히 60대 여성 피해는 1917건으로 작년 상반기 718건보다 2배 이상으로 늘었다.
피해가 급증하자 강남 3구 지역 구청들은 ‘보이스피싱 예방 교육’에 나섰다.
지난 5일 오전 10시 서울 송파구 잠실본동주민센터에서 송파경찰서 범죄예방과 서은규 경사는 어르신들을 대상으로 “요즘 은행이라고 하면서 민생 회복 쿠폰을 받으라고 한 뒤에 휴대폰 앱을 설치하라고 많이 전화나 문자가 온다. 모두 사기”라며 경각심을 갖게 했다.
보이스피싱 조직원들은 악성 앱을 깔도록 유도한 뒤, 이 악성 앱을 통해 정부‧금융 기관이나 경찰 등에 확인하려는 피해자들의 전화를 중간에서 가로채 피해 규모가 커지고 있다.
보이스피싱 조직의 유도로 악성 앱을 깐 것은 인지하면, 휴대폰을 비행기 모드로 바꾸거나 전원을 꺼 데이터 접속을 차단한 뒤 바로 경찰서를 찾아야 한다.
이날 교육엔 실제 보이스피싱을 당했던 주민들이 나와 경험담을 공유했다. 조모(76) 씨는 지난 2019년 4월 6일 은행 직원, 검사를 사칭한 보이스피싱 조직에 3000만원을 뜯겼다. 조 씨는 “진즉 이런 범죄가 유행한다는 뉴스라도 읽었으면 속지 않았을 것”이라고 했다.
또 이모 씨는 “나와 남편 모두 얼마 전 보이스피싱을 당하기 직전까지 갔다가 겨우 피해를 면했다”며 “마침 집에 있던 큰아들이 보이스피싱이라고 알려줘 돈을 안 보냈다”고 했다.
강남구는 신한은행과 협약을 맺고 지난 4월부터 관내 경로당을 순회하며 보이스피싱 예방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지난달까지 경로당 176곳 중 100곳에 교육을 완료했다.
<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