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혼조 끝 약세...MS·메타 강세에도 반도체 부진에 밀려
[더퍼블릭=손세희 기자] 뉴욕증시 주요 지수가 31일(현지시간) 일제히 하락 마감했다. 마이크로소프트(MS)의 시가총액이 장중 4조 달러를 돌파하며 상승세를 이끌었지만 차익실현 매물이 대거 출회되며 지수를 끌어내렸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330.30p(0.74%) 내린 4만4130.98에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23.51p(0.37%) 떨어진 6339.39, 나스닥지수는 7.23p(0.03%) 하락한 2만1122.45를 기록했다.
MS와 메타는 2분기 호실적을 발표하며 장 초반 지수 상승을 주도했다. MS는 장중 시가총액이 4조 달러를 넘어서 엔비디아에 이어 역대 두 번째 ‘4조달러 클럽’에 진입했다. 주가는 장중 8.22%까지 오르기도 했으나 차익실현 매물이 쏟아지며 상승폭을 줄여 3.93% 상승 마감했다.
메타는 11.25% 급등했다. 2분기 ‘어닝 서프라이즈’에 더해 연간 설비투자 계획을 상향 조정한 것이 매수세를 자극했다. 특히 AI(인공지능) 인프라에 대한 공격적인 투자에도 불구하고 수익성이 개선된 점이 긍정적으로 평가됐다.
다만 양대 빅테크의 강세에도 불구하고 시장 전반은 약세 흐름을 피하지 못했다.
AI 및 반도체 업종 전반에 대한 실적 실망감이 확산되면서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3% 넘게 급락했다. 지수 구성 종목 30개 중 29개 종목이 하락 마감했다.
특히 반도체 설계업체 Arm은 13.44% 급락하며 가장 큰 낙폭을 기록했다. 2분기 실적이 시장 기대에 미치지 못한 데다 향후 매출 전망 역시 예상과 큰 차이가 없었던 점이 악재로 작용했다. 이 여파로 AMD, ASML, 퀄컴 등 주요 반도체 종목도 동반 하락했다.
한편, 장 마감 이후 애플과 아마존은 나란히 2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애플은 전년 동기 대비 10% 증가한 940억4000만 달러의 매출을 기록, 주당순이익(EPS)은 1.57달러로 12% 증가해 시장 예상을 상회했다. 아마존도 매출 1677억 달러, EPS 1.68달러를 기록하며 모두 예상치를 웃돌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