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톺아보기]오락가락한 대통령실 인선기준...강준욱 ‘자진사퇴’‧이진숙 ‘낙마’‧강선우 ‘임명강행’

2025-07-22     최얼 기자
 이재명 대통령이 22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를 주재하고 있다(연합뉴스)

[더퍼블릭=최얼 기자]대통령실의 오락가락한 인사기준에 정치권이 술렁이고 있다. ‘계엄은 답답함의 표현’이라는 발언으로 논란이 일었던 강준욱 국민통합 비서관은 지명철회가 아닌 자진사퇴 했고, 친명계 민주당 의원인 강선우 여성가족부 후보자는 사실상 임명이 유력하다. 반면, 외부추천으로 하마평에 올랐던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는 이재명 정부 내각인사 최초의 임명철회라는 불명예를 얻게됐다. 즉, 친명계 강선우 후보자만이 인사청문회에서 살아남게된 것이다.

22일 대통령실에 따르면, 강준욱 국민통합 비서관은 자진사퇴했다. 강 비서관은 지난 3월 출간한 책에서 윤석열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를 “국민에게 막막함을 알리는 방식”이라 평가하며, 계엄을 내란으로 보는 시각은 “여론 선동”이라는 취지의 주장을 편 바 있다. 해당 발언은 임명 직후부터 여권 내부에서도 반발을 낳았고, 결국 사퇴로 이어졌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강 비서관 사퇴소식을 전하며 “대통령은 지지하지 않는 국민도 포용하겠다는 의지로 보수 인사의 추천을 받아 임명했지만, 국민주권 정부 철학에 반한다는 국민 의견이 제기됐다”며 “강 비서관이 자진사퇴로 과오에 대해 진심으로 사과하겠다는 뜻을 밝혀 이를 수용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후임 비서관은 “이재명 정부의 정치 철학을 이해하고 통합의 가치를 지닌 보수 인사 중에 임명할 계획”이라 덧붙였다.

반면 대통령실은 22일중 강선우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 경과보고서를 재송부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사실상 강 후보자의 임명을 강행하겠다는 의중인 셈이다. 이로써 오는 31일 까지 국회에서 재송부하지 않게된다면, 대통령의 임명강행이 가능해진다.

강선우 후보자는 현재까지 ▲보좌진 사적 업무 지시 의혹 ▲임금 체불로 고용노동부 진정 ▲지역 민원 불이행 시 예산 보복 등의 의혹이 제기됐고, 특히 문재인 정부의 정영애 전 여가부 장관까지 강 후보자를 겨냥해 “강선우 당시 의원이 병원 측 거절에 격분해 예산을 깎았다”고 주장했다. 그럼에도 강선우 후보자는 스스로 물러나지 않았고, 대통령실 역시 임명 의지를 굽히지 않고있는 상황.

두 사람 뿐 아니라, 지난 20일 이진숙 후보자의 낙마 역시 구설수에 오르내리고 있다. 논문표절의혹이 불거졌던 이 후보자의 경우, 두 사람과 달리 임명철회라는 철퇴를 맞았기 때문이다. 참고로 보수논객인 정규제 주필은 이재명 대통령이 본인에게 직접 이진숙 후보자에 대해 “내가 추천한 인물이 아니다”라고 했다고 밝힌 바 있다. 이에 정치권에서는 이재명 대통령이 이 후보자를 낙마시킬 것이란 관측이 지배적이었다.

종합하자면, 이재명 정부의 인선 과정의 ‘사전 기준’이 애매모호한 터라, 어떤 기준에 의해 세 후보자의 인선 결과가 달라졌는지가 명확하지 않다. 그럼에도 대통령실은 “검증엔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며, 이에 이재명 정부의 인선논란은 솔직히 당분간 정치권에서 계속 비화될 것으로 점쳐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