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금 경색 심화되나” 트럼프發 관세 압박에 수출 둔화, 내수부진까지…‘어음 부도율’ 10년 만에 최고치
[더퍼블릭=김미희 기자]내수 부진과 수출 둔화 등으로 경제 위기에 대한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최근 기업들의 ‘어음 부도율’도 10년 만에 최고치를 나타냈다. 자금난이 그만큼 심해졌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20일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지난 5월 전국 어음 부도율(전자 결제분 제외)은 0.4%로 집계됐다. 지난 2월 0.04%에서 불과 석 달 만에 10배로 치솟았다. 이는 지난 2015년 3월 0.41% 이후 10년여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어음 부도란 약속어음이나 환어음 등 어음을 발행한 사업자가 만기일에 어음 금액을 지급하지 못해 결제 실패가 발생한 것을 말한다. 지급 능력 상실로 어음 부도를 반복한 사업자는 어음 거래 정지 처분을 받게 되고, 심하면 파산을 맞게 된다.
특히 정상적으로 차환되는 프라이머리 채권담보부증권(P-CBO)이 실제와 다르게 부도로 처리되면서 어음 부도율에 영향을 미치는데, 이를 고려해도 여전히 부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우려가 커지는 상황이다.
지난 5월 P-CBO 기술적 부도 제외 어음 부도율은 0.24%로, 전월(0.06%)의 4배로 뛰었다. 2023년 4월(0.26%) 이후 2년여 만에 최고치였다.
5월 어음 부도 장수는 1천장으로 평소와 크게 다르지 않았으나, 부도 금액은 총 7천880억원으로, 역시 2023년 5월(7천929억원) 이후 2년 만에 가장 컸다.
자금난은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대출 연체율에서도 확인된다.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은행의 지난 6월 말 대기업 대출 연체율은 평균 0.11%로, 작년 동월(0.02%)보다 크게 상승했다.
같은 기간 중소기업 대출 연체율도 평균 0.44%에서 0.55%로 올랐다.
다만, 지난 5월 말 대기업 연체율이 0.19%, 중소기업 연체율이 0.71%로 각각 치솟았다가 부실채권 매·상각 영향으로 수치가 다소 개선된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