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층 늘고 청년층 줄고…취업 시장도 양극화되나
[더퍼블릭=김미희 기자]지난달 취업자가 넉 달째 20만명 안팎 증가세를 이어가면서, 정부가 예측한 연초 전망치를 웃돌 것으로 보인다. 이는 고령층이 은퇴를 미루고 노동시장에 잔류하는 추세가 커지는 반면 청년층은 취업준비기간이 늘어난 연유로 풀이된다.
통계청이 16일 발표한 ‘6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15세 이상 취업자는 2천909만1천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18만3천명 늘어났다.
취업자 수는 지난해 12월 일자리 사업 일시 종료 등에 따라 5만2천명 감소했다가 지난 1월 13만5천명 늘었고 2월에도 13만6천명 증가했다.
3월과 4월에는 각각 19만3천명, 19만4천명 늘었고 5월에는 24만5천명 늘었다. 최근 4개월 연속 20만명 안팎의 증가세가 이어졌다.
산업별로 보면 제조업 취업자는 8만3천명 줄었다. 5월(-6만7천명)보다 감소 폭을 키우며 12개월째 마이너스였다.
통상 고용은 경기 후행성 지표로 꼽힌다. 섬유·종이 등 내수 관련 제조업 부진이 지속되는 가운데 미국 관세정책 영향으로 자동차 제조업 고용도 위축된 것으로 정부는 분석했다.
건설업 취업자 역시 건설경기 불황 등이 이어지면서 9만7천명 감소했다. 14개월째 내리막을 걷고 있다.
농림어업도 14만1천명 감소했다. 4월 한파와 6월 폭우 등 이상 기후로 인해 2015년 11월(-17만2천명) 이후 최대 감소를 기록했다.
반면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21만6천명), 전문·과학 및 기술서비스(10만2천명) 등에서 증가했다.
부동산업은 5월엔 5천명 감소했으나 지난달엔 6천명 증가했다. 수도권을 중심으로 주택거래가 회복된 영향이라고 통계청은 분석했다. 내수와 관련이 있는 숙박음식업 취업자는 3만8천명 감소했다.
반면 내수 한파와 제조업 부진 여파로 청년층과 50대 고용도 위축됐다. 연령별로 보면 청년층(15∼29세) 취업자는 17만3천명 줄었고, 50대도 5만3천명 감소했다. 청년층 고용률은 1.0%p 하락한 45.6%를 기록했다. 14개월 연속 하락세다.
반면 60대 이상은 34만8천명 증가하며 전체적인 취업자 수 증가세를 이끌었다. 30대도 11만6천명 늘었다.
또 청년층 쉬었음 인구가 2개월 연속 감소하면서 정부는 쉬었음 청년이 ‘취업준비생’으로 유입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아울러 고령층이 은퇴를 미루고 노동시장에 잔류하는 추세가 확산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정부 직접일자리 사업이 작년보다 6만명가량 확대되면서 보건복지업과 공공행정 취업 증가세로 이어졌다고도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