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의 두 얼굴…앞에서는 “하버드와 다음주쯤 합의”, 뒤에서는 “모든 연방 재정 지원 박탈”
[더퍼블릭=김미희 기자]취임 이후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대학들에 캠퍼스 내 반유대주의 및 DEI(다양성·형평성·포용성) 근절 등을 명분으로 한 교내 정책 변경을 요구하는 가운데, 30일 하버드대에 “모든 연방 재정 지원을 박탈할 수 있다”는 내용의 서한을 보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하버드대에 반유대주의 및 DEI(다양성·형평성·포용성) 근절 등을 요구한 바 있다. 하지만 하버드는 학문의 자유 침해라며 이를 거부했고, 트럼프 행정부는 ‘괘씸죄’를 물어 집중포화를 퍼붓고 있다.
이미 각종 연구 프로젝트에 쓰이는 3조원대 규모의 연방 지원금이 중단했고, 지난달엔 하버드대의 외국인 학생 등록을 차단하는 조치까지 내렸다.
다만, 이 조치는 법원의 명령으로 곧바로 중단되긴 했지만, 본격적인 법적 다툼을 앞두고 있어 불확실성이 남아 있다.
이러한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0일 소셜미디어(SNS) 트루스소셜에 “우리는 하버드와 긴밀히 협력해왔으며, 다음 주쯤 합의가 발표될 가능성이 매우 크다”고 밝혀 정부와 하버드 간 첨예한 갈등이 해소될 수 있음을 내비친 바 있으나 사실상 ‘최후통첩’을 날린 셈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는 30일(현지시간) 반(反)이스라엘 정서가 미국 하버드대 캠퍼스에 확산된 이후 대학 당국이 유대인 재학생에 가해진 위협을 방치한 사실이 확인됐다고 통보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트럼프 행정부가 30일(현지시간) 이 같은 조사 결과를 담은 민권법 위반 통지서를 하버드대에 보냈는데, 트럼프 행정부는 하버드대 서한에서 유대인 및 이스라엘 학생들이 공격받는 것에 대학 본부가 대처하지 못했고, 그 결과 많은 유대인 학생이 괴롭힘을 당할 수 있다는 공포에 신분을 숨겨야 했다고 판단했다.
하버드 캠퍼스에서 확인된 주요 반유대주의 사례로는 유대인을 상징하는 다윗의 별에 달러화 표시를 그려놓는다던가 이스라엘 국기에 나치 문양을 그려놓는 행위 등이 있었다고 서한은 적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