준공 후 미분양 12년 만에 최고…지방 쏠림에 공급 불균형 심화

2025-06-30     홍찬영 기자

 

[더퍼블릭=홍찬영 기자] 전국 준공 후 미분양이 2만7000가구를 넘어서며 12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지방을 중심으로 공급 과잉이 누적된 가운데, 금리 부담과 대출 규제까지 겹치며 매수 심리는 얼어붙고 있다. 반면 전월세 시장은 월세 중심으로 거래가 늘며 수요 양극화가 뚜렷해지는 분위기다.

30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 5월 기준 전국의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2만7013가구로 집계됐다. 이는 전달(2만6422가구)보다 591가구(2.2%) 늘어난 수치로, 2013년 6월(2만7194가구) 이후 약 12년 만에 가장 많은 수준이다.

‘악성 미분양’으로 분류되는 준공 후 미분양은 건설사의 자금 부담을 키우고 지역 건설경기 위축으로 이어질 수 있어 주요 경고 지표로 여겨진다.

지역별로 보면 수도권과 지방 모두 악성 미분양이 증가세를 보였다. 수도권은 경기도 2336가구, 인천 1588가구, 서울 692가구로 총 4616가구가 집계됐으며, 이는 전월 대비 91가구(2.0%) 늘어난 수치다.

지방은 한 달 새 500가구(2.3%)가 증가해 총 2만2397가구를 기록했다. 대구가 3844가구로 전국에서 가장 많은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이 몰려 있었고, 이어 경북(3357가구), 경남(3121가구), 부산(2596가구), 전남(2351가구), 제주(1621가구), 충남(1272가구), 전북(1049가구) 순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악성 미분양이 늘어나는 이유는 복합적인 요인이 있다는 분석이다. 우선, 주택담보대출 규제가 강화되면서 실수요자들의 자금 조달이 어려워졌고, 이에 따라 계약 포기나 잔금 미납 사례가 늘고 있다.

또한 금리 부담과 집값에 대한 불확실성으로 매수 심리가 위축된 점도 미분양 해소를 더디게 만드는 요인이다. 여기에 대구·경북 등 일부 지방은 수요 대비 공급이 과도하게 몰리면서 준공 후에도 미분양이 쌓이는 상황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선 대출 규제 완화와 함께 지역별 수급 균형을 고려한 공급 조절, 실수요자 중심의 금융 지원 확대 등이 필요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전언이다.

특히 지방의 경우, 공급 과잉 지역에 대한 맞춤형 대책과 함께 미분양 해소를 위한 공공 매입 확대나 임대 전환 등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개입이 요구된다는 지적도 나온다.

한편 전국의 5월 말 전국의 총 미분양 주택은 총 6만6678가구로 집계되면서 전월 대비 1.6% 줄어들었다.

지난달 주택 매매 거래량은 6만2703건으로, 전월 대비 4.2% 줄었다. 서울은 1만865건으로 전달보다 9.6% 감소했지만, 1월(5307건)과 비교하면 여전히 두 배 이상 높은 수준이다.

전월세 거래는 오히려 늘었다. 5월 전체 전월세 거래량은 25만2615건으로 전월 대비 10.5% 증가했으며, 수도권은 17만190건(9.8%↑), 지방은 8만2425건(12.2%↑)을 기록했다.

유형별로는 전세보다 월세 증가폭이 더 컸다. 전세는 9만3294건으로 1.6% 늘어난 반면, 월세는 15만9321건으로 16.5% 증가해 뚜렷한 격차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