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3 대선 불복운동 전국으로 확산?… 서울, 부산, 대구 등 동시다발 시위 '젊은층, 학부모 시위 가세'
-성창경TV, 6월 24일 방송리뷰 -지난 6.3 대선 결과에 대한 부정 선거 의혹이 국내외에서 확산되며 전국적인 불복 운동으로 번지고 있다.
[더퍼블릭=정진철 기자] 지난 6.3 대선 결과에 대한 부정 선거 의혹이 국내외에서 확산되며 전국적인 불복 운동으로 번지고 있다. 특히 미국에서는 선거 감시단이 이번 한국 대선을 부정 선거로 규정하고 대대적인 기자회견 및 언론 활동을 예고하고 있어 파장이 예상된다. 이들은 이번 선거 결과의 배후에 중국이 있으며, 특정 알고리즘이 개입된 것으로 보고 한국의 대선 결과와 그로 인해 탄생한 정부를 인정하지 말 것을 주장하고 있다.
미국 선거 감시단의 이러한 움직임은 국내 부정 선거 규명 운동에 더욱 불을 지피고 있다. 국내에서도 들불처럼 번지는 이번 운동은 언론의 조명 없이도 젊은 층을 중심으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지난주에는 부산, 대구, 대전에서 2030 젊은이들이 주축이 되어 활발한 활동을 펼쳤다. 대구 동성로에서는 비가 오는 궂은 날씨에도 불구하고 부정 선거 규명을 촉구하는 행진이 이어졌으며, 부산 부경대학교 일대에서 광안리까지 행진이 진행되기도 했다.
이번 주에는 인천과 서울에서도 부정 선거 관련 시위가 이어지며 전국적인 확산세를 보이고 있다. 서울역에서는 태극기와 성조기를 든 젊은이들이 부정 선거 규명을 요구하는 시위를 벌였으며, 이들의 적극적인 움직임은 언론 보도와 무관하게 전국 곳곳에서 시민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이끌어내고 있다.
한편, 전국 학부모 단체는 선관위 앞에서 규탄 집회를 개최하며 부정 선거 의혹에 대한 목소리를 높였다. 용인 수지구 선관위 앞에서 열린 집회에서 학부모 단체는 지난 조기 대선 당시 이재명 후보에게 이미 기표된 투표용지를 받았다고 신고한 유권자가 선관위에 의해 자작극으로 몰려 수사 의뢰되었으나, 경찰 조사 결과 단순 착오로 밝혀진 사건을 지적하며 분노를 표출했다.
이들은 선관위의 뒤늦은 유감 표명에도 불구하고 이번 사건을 “실수가 아닌 선거를 망친 범죄”로 규정하며 6.3 대선 무효 및 재선거 실시를 강력히 촉구했다. 학부모 단체는 선거의 기본이 감시임을 강조하며 이번 사태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을 호소했다.
현재 정치권, 특히 국민의힘은 부정 선거 의혹에 대해 침묵하고 있어 대조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시민 단체, 학부모 단체, 청년 단체, 그리고 대학생들까지 가세하며 지방과 서울을 가리지 않고 기관 앞에서 부정 선거 규명 운동이 들불처럼 일어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오는 6월 26일 예정된 미국 부정 선거감시단의 발표가 한국 선거를 부정 선거로 규정하고 그 결과를 미국과 국제 사회가 인정하지 말 것을 주장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국내 부정 선거 규명 운동은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보인다. 이들은 사전투표와 본투표 사이의 비정상적인 차이를 지적하며 중국의 화웨이가 배후에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현재 대한민국이 그 어느 때보다 부정선거 규명을 위한 운동이 전국 규모로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언론과 정치권의 침묵이 계속되고 있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부정 선거 저항 운동은 국민들 사이에서 점점 커져가며 곧 폭발할 지경에 이른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