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번째 통화한 트럼프-푸틴, ‘직접 대화’ 방침 확인했지만 문제는 ‘디테일’…모두가 만족하는 협상안 찾을까

2025-05-20     김미희 기자

[더퍼블릭=김미희 기자]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19일(현지시간)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3번째 전화 통화를 갖고 우크라이나 전쟁 종식을 위해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직접 대화를 계속한다는 방침은 재확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기대를 모았던 ‘즉각적이고 조건 없는 휴전’ 합의나 러시아-우크라이나 정상회담 개최 등과 관련한 구체적인 진전이나 돌파구 마련은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전해진다.

19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은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에 올린 글에서 푸틴 대통령과의 2시간(러시아 발표는 2시간 5분)에 걸친 통화가 “매우 잘 됐다고 믿는다”며 “러시아와 우크라이나는 휴전과, 더 중요한 전쟁 종식을 향한 협상을 즉시 시작할 것”이라고 썼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어 “그것을 위한 조건들은 두 나라 사이에서 협상이 이뤄져야 할 것”이라며 “그들(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은 다른 누구도 알지 못할, 협상의 구체적 사항을 알고 있다”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러시아는 이 재앙적인 ‘대학살’이 끝나면 미국과 대규모 무역을 하고 싶어 하며 나도 동의한다”라고 밝힌 뒤 “러시아에는 막대한 일자리와 부를 창출할 수 있는 엄청난 기회가 있다. 그 잠재력은 무한하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푸틴 대통령은 이날 통화에 대해 “매우 유익하고 매우 솔직했다”며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에 평화 협정의 윤곽을 그리는 각서를 제안할 것이라고 밝혔다.

타스 통신 등 러시아 매체들에 따르면 푸틴 대통령은 통화 후 기자들에게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측에 향후 가능한 평화 협정에 대한 각서를 제안하고 협력할 준비가 됐다”고 말했다. 각서에는 관련 합의가 이뤄질 경우 일정 기간 휴전할 가능성을 비롯해 위기 해결 원칙, 평화 협정 체결 일정 등 다양한 입장을 규정하는 내용이 포함될 수 있다고 푸틴 대통령은 설명했다.

다만 그는 “문제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가 평화에 대한 최대한의 열망을 보이고 모두에게 적합한 타협점을 찾는 것”이라며 “러시아의 입장은 명백하다. 중요한 것은 위기의 근본 원인을 제거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유리 우샤코프 크렘린궁 보좌관은 두 대통령이 미·러 관계 정상화에 대해서도 논의했으며, 두 정상(푸틴과 트럼프)이 직접 만나 회담할 가능성도 고려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과 푸틴 대통령의 통화는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공개된 것만 이번이 3번째다. 트럼프 대통령은 2월 12일 푸틴, 젤렌스키 대통령과 잇달아 통화한 뒤 종전 중재 외교를 공식화했고, 3월 18일 푸틴 대통령과 통화하며 ‘30일간의 에너지 인프라 공격 중단’에 뜻을 모았다고 발표한 바 있다.

앞서 양국은 지난 16일 튀르키예 이스탄불에서 당국자 간 협상을 진행했다. 하지만 이스탄불 회담에서 휴전이나 종전에 대한 구체적 합의를 도출하지 못한 터에, 러시아-우크라이나 정상회담과 같은 최고위급 담판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대화는 공전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