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보교육감 지역 학교들 '광주·경남·세종·전남·울산·인천·충남'... "윤 대통령 선고 생중계한다" 정치적 편향 논란
"자율적으로 하되, 사회적 갈등 발생 주의하라"
[더퍼블릭=안은혜 기자] 헌법재판소가 오는 4일 오전 11시 윤석열 대통령 탄핵 선고를 각 방송사를 통해 생중계하기로 한 가운데, 7개 시·도 진보 교육감들이 교실에서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공문을 관할 학교에 보낸 것으로 알려졌다.
7개 교육청은 광주·경남·세종·전남·울산·인천·충남 등으로 모두 진보 교육감 지역이다. 해당 교육청들은 탄핵 선고 생중계를 학교 교육에 활용하는 방안을 권고하거나 시청 시 유의 사항을 담은 공문을 초중고에 발송했다.
광주광역시교육청(교육감 이정선)과 전라남도교육청(교육감 김대중)은 지난 1일 관할 학교에 생중계 시청을 권고하는 공문을 발송한다고 밝혔다.
공문에는 ▲학교별 자율적 시청 결정 ▲교무회의를 통한 논의 ▲학급·학년·전교생 단위 시청 가능 ▲12∙3 비상계엄 선포 타임라인 및 포고령 설명 등의 내용이 담겼다.
광주시교육청은 각 학교가 학교 구성원의 의견을 반영해 자율적으로 탄핵심판 선고 영상을 시청하는 방식 등으로 계기교육을 진행할 수 있도록 했다. 이를 위해 광주시교육청은 계기교육 실시 공문 시행을 통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일을 민주시민교육의 한 과정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전남교육청 역시 "각 학교가 자율적으로 생중계 시청 여부를 결정하되, 가능한 많은 학생들이 헌재의 결정을 시청하며 민주적 의사결정 과정을 이해할 수 있도록 적극 안내할 계획"이라며 "학생들이 교실에서 민주주의를 주제로 토론하고, 시민의식을 키울 수 있는 계기가 되도록 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충남교육청(교육감 김지철)은 2일 '헌재 대통령 탄핵심판 TV시청 중계시청'이란 제목의 공문에서 "민주주의 절차와 헌법기관의 기능에 대해 학습할 수 있도록 민주시민교육에 활용하기 바란다"며 "시청 여부와 활용 방법은 교육공동체 협의를 통해 결정하고 교과·창의적 체험활동을 활용하라"고 밝혔다.
이어 "교사의 정치적 중립의무를 준수, 사회적 갈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유의하라"고 덧붙였다.
같은날 세종시교육청(교육감 최교진)은 2일 지역 초·중·고등학교와 특수학교 등에 "민주시민교육을 연계해 학교별 자율적으로 탄핵 재판 생중계를 시청할 수 있다"며 "구성원의 의견과 학교장 판단에 따라 수업 시간 재판 시청 여부를 결정하면 된다"는 내용의 공문을 발송했다.
경남도교육청(교육감 박종훈) 역시 '헌법재판소의 대통령 탄핵 심판 생중계 TV시청 문의 관련 안내' 공문을 통해 각 학교가 교육 공동체의 협의 과정을 통해 탄핵 심판 생중계 시청을 자율적으로 결정하도록 했다.
인천교육청(교육감 도성훈)은 2일 각 학교에 공문을 보내 "민주주의 절차 및 헌법기관의 기능 등 민주시민교육을 자율적으로 실시해 주기 바란다"며 이같이 권고했다.
이들 지역과 달리 다른 지역 학생들은 윤 대통령 탄핵심판 생중계를 수업 중 시청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서울교육청은 내부 논의 끝에 공문을 발송하지 않기로 했다. 보수·중도 성향 교육감이 관할하는 강원·경기·경북 등은 시청 권고 계획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