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뻥튀기 ‘낙관론’에 실적 부풀리기”…금융당국, SPAC 규제 나서자 기업인수목적회사 시장 ‘1/3 토막’
[더퍼블릭=김미희 기자]올 한해 금융당국이 규제 강화에 나서면서 기업인수목적회사(SPAC·스팩) 시장이 쪼그라들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그간 기업인수목적회사(SPAC·스팩)은 기업공개(IPO)와 관련한 까다로운 규정을 피하는 우회로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았는데 금융당국이 이를 규제하기로 하면서 ‘벽’을 넘지 못하게 된 것으로 풀이된다.
데일리안 보도에 따르면 올해(지난 18일 기준) 한국거래소에 스팩 합병 상장 승인 건수는 6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18건)에 비해 3분의 1 수준에 그친 것으로 집계됐다. 상장예비심사 청구 또한 지난해 32건이 진행됐으나 올해는 23건에 그쳤다.
앞서 금융감독원은 지난해 12월 스팩(기업인수목적회사)과 합병하는 방식으로 증시에 상장하는 기업이 미래 영업실적을 지나치게 낙관적으로 추정하는 등 기업가치(합병가액) 고평가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며 제도개선을 추진한다
그간 SPAC은 비상장기업의 인수합병을 목적으로 하는 특수회사다. 공모로 신주를 발행해 투자자금을 모은 뒤 합병할 비상장 우량기업을 물색한다.
일반 투자자들 입장에선 SPAC 주식을 통해 기업 인수에 참여하게 되고, 피인수 기업으로서는 복잡한 규정을 피해 증시에 상장하는 효과가 있다.
하지만 당초 투자자들에게 선전한 것처럼 성공적인 합병 결과를 도출한 SPAC이 드물었다는 문제가 거세지자 금융당국이 이를 손질하기로 한 것이다.
실제로 금감원이 지난 2010년부터 올해 8월까지 스팩상장한 기업 139개사의 매출액과 영업이익 추정 현황을 분석한 결과 평균 매출액 추정치는 571억원이었지만 실제치는 469억원으로 17.8% 미달했다.
평균 영업이익 추정치는 106억원, 실제치는 44억원으로 58.7% 미달한 것으로 집계됐다. 10곳 중 8곳가량인 76%가 매출액 미달 기업이었고, 84.1%는 영업이익 미달기업으로 분석됐다.
증권사 등 스폰서와 회계법인 등 외부평가법인이 기업가치 고평가를 방지해야 하지만 합병성공 및 업무수임 등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 투자자보호 노력이 상당히 미흡했기 때문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기업가치가 고평가되면 스팩 투자자에게 불리한 합병비율이 적용돼 결국 투자자 피해로 귀결된다는 설명이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해 코스닥시장 신규 상장 기업 수는 132개로 2002년 IT(정보기술) 붐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특히 스팩 상장 수는 2009년 스팩 도입 이후 세 번째로 많았다. 업종별로는 소프트웨어 업종이 19개로 3년 연속 가장 많이 상장됐으며 반도체(17개), 바이오(11개), 화학 및 금속(6개) 등이 뒤를 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