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X 코리아 밸류업’ 지수 발표 앞두고 자산운용사들, ETF ‘착수’…‘패시브 vs 액티브’ 갈리나

2024-09-10     김미희 기자

[더퍼블릭=김미희 기자]이달 ‘KRX 코리아 밸류업’ 지수의 발표를 앞두고 국내 자산운용사들이 지수 출시에 발맞춰 관련 상장지수펀드(ETF) 준비에 돌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현대자동차·LG·포스코 등 10대 그룹이 밸류업 프로그램 참여를 공식 선언하면서 추가로 동참하는 상장사들이 늘어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는 가운데, 자산운용사들이 속속 상품을 준비하는 것으로 전해진다.

10일 데일리안 보도에 따르면 한국거래소에 밸류업 지수를 추종하는 ETF를 출시한다는 의사를 밝힌 자산운용사 12곳 중 10곳이 액티브 ETF를 준비하고 있다.

액티브 ETF 출시 계획을 밝힌 곳으로는 국내 ETF 점유율 4위인 한국투자신탁운용을 비롯해 중소형사인 키움투자·삼성액티브자산운용 등이 있다. 이들은 시장 내 우위를 선점한 대형사와 견주고자 액티브 ETF로 수익률 차별화를 노리겠다는 입장이다.

액티브 ETF의 경우, ETF 성과의 핵심으로 꼽히는 펀드매니저가 편입 종목·매매 시점 등을 직접 결정해 운용하는 만큼 자본시장 트렌드를 보다 빠르게 따라갈 수 있어 차별화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밸류업 정책에 발맞춰 제시한 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제대로 이행하지 않는 기업을 펀드매니저의 판단 하에 포트폴리오 내 투자 비중을 줄이거나 제외할 수 있게 된다.

이 매체 보도에 따르면 이외 밸류업 지수가 발표되면 해당 지수를 90% 이상의 비중으로 추종하는 패시브 ETF를 내놓겠다는 계획을 밝힌 곳은 삼성·미래에셋·KB자산운용 등 대형사 3곳으로 나타났다. KB자산운용은 패시브와 액티브형 모두 준비하고 있는 것을 감안하면 패시브만을 준비하고 있는 것은 시장 1·2위는 삼성과 미래에셋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패시브가 아닌 액티브 전략을 택한 운용사가 3배 이상인 셈이다. 무엇보다 대형사가 패시브 ETF를, 중소형사가 액티브 ETF를 선택했다는 점에서 전략이 뚜렷하게 구분된다는 설명이다.

이 외에도 현대자산운용은 한국거래소가 발표한 밸류업 지수가 아닌 새로운 맞춤형 지수를 개발해 ETF를 출시할 계획으로 차별화를 꾀하려는 중소형사들의 움직임은 활발해지고 있다.

한편 앞서 정부는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를 위해 시행하는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기업가치 제고 계획 공시를 독려하고 있다. 이는 기업 현황 진단과 기업가치 제고 목표·계획, 이행 평가·소통 계획 등을 담은 문서를 공시 형태로 공개하는 것이다.

아울러 밸류업 프로그램의 바로미터 역할을 할 ‘코리아 밸류업 지수’를 오는 9월 중 발표하고, 연내 상장지수펀드(ETF) 출시 및 밸류업 지수 선물 상장도 차질 없이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