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韓中日 회담 끝나던 날 軍 정찰위성 발사…“비행 중 공중폭발”

2024-05-28     김미희 기자
합참이 28일 공개한 서북도서 지역의 우리 경비함정의 감시장비로 촬영한 북한 주장 군사정찰위성 폭발 영상 캡처. 

[더퍼블릭=김미희 기자]북한이 한중일 정상회의가 열린 27일 밤 군사정찰위성 추가 발사를 감행했지만 실패한 것으로 나타났다. 합동참모본부에 따르면 북한이 27일 오후 10시 44분쯤 평안북도 동창리 일대에서 남쪽으로 군사 정찰위성을 발사했다. 하지만 발사는 실패한 것으로 알려졌다.

합참은 “북 발사체는 10시46분쯤 북한 측 해상에서 다수의 파편으로 탐지돼 공중폭발 한 것으로 평가된다”고 했다.

북한 또한 28일 관영 매체인 조선중앙통신 보도를 통해 군사정찰위성 발사 과정에서 신형 로켓 1단이 비행 중 공중에서 폭발하는 사고가 발생했다며 발사 실패를 인정했다.

앞서 북한은 한중일 정상회의가 예정된 27일 새벽 일본 정부에 내달 4일 0시까지 인공위성을 탑재한 로켓을 발사하겠다고 통보했다.

조선중앙통신은 28일 ‘군사정찰위성발사시 사고발생’ 제목의 기사를 통해 국가항공우주기술총국은 27일 서해위성발사장에서 정찰위성 ‘만리경-1-1호’를 신형위성운반로켓에 탑재해 발사했다고 밝혔다.

통신은 국가항공우주기술총국 부총국장이 “신형 위성 운반 로켓은 1단 비행 중 공중 폭발해 발사가 실패했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비상설 위성 발사 준비위원회 현장 지휘부 전문가심의에서 새로 개발한 액체산소+석유 발동기(엔진)의 동작 믿음성에 사고의 원인이 있는 것으로 초보적인 결론을 내렸다”고 언급했다.

북한의 기존 발사체 엔진인 백두산 엔진은 적연질산을 산화제, 다이메틸 하이드라진'(UDMH)을 연료로 쓴다고 알려졌다.

하지만 액체산소 산화제에 석유(케로신 추정) 연료라는, 북한으로선 완전히 새로우면서 한국 누리호와 같은 구성의 엔진을 만들어 6개월여만에 적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국가항공우주기술총국은 “기타 원인으로 될 수 있는 문제점들도 심의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발사는 한중일 정상회의가 끝나자마자 이뤄졌다는 점에서 한중일 3국간 협력에 대한 항의 차원으로 풀이된다. 다만, 북한이 역내 외교 ‘빅이벤트’에 맞춰 발사 시기를 정한 것으로 보이지만 신형 엔진의 신뢰성이 완벽하게 담보되지 않은 상황에서 무리하게 발사를 진행한 것 아니냐는 분석도 나온다.

앞서 북한은 지난해 말 김정은 위원장이 ‘2024년 3기 추가 발사’를 선포한 만큼 늦어도 올해 4월 전에는 다시 위성 발사에 나서리라는 추측이 많았는데 이날 이뤄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