檢, 尹 대통령 ‘명예훼손 혐의 수사 범위’ 확대‥언론사 5곳에 시점도 ‘확대’
檢, 대장동 의혹 ‘민관유착’ 프레임→‘검찰 수사’ 전환 ‘시도’ 의심 경향신문, “팩트에 근거한 합리적 의문 제기”, 뉴스버스 “‘언론탄압’의 연장선”
[더퍼블릭=김미희 기자]지난 대통령 선거 당시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부산저축은행 사건 수사 무마 의혹’ 수사가 연일 확대되는 분위기다.
대통령은 연일 ‘민생’을 강조하기는 하지만 한편으로 검찰은 지난 대선 당시 윤 대통령의 대한 부산저축은행 수사 무마 의혹을 제기한 언론사를 상대로 수사를 확대하고 있다. 특히 수사 시점도 넓어지고 있다.
당초 검찰 수사는 지난해 2~3월경을 집중 수사했으나 2021년 10월까지 확대되면서 수사가 더욱 광범위 할 것으로 보인다.
검찰 수사는 대선 사흘 전 보도된 뉴스타파의 ‘신학림-김만배 허위 인터뷰’ 의혹에서 시작한 수사가 대선 초기인 2021년 10월 보도 기사까지 확대되는 양상이다. 그러면서 수사 대상이 된 기사의 보도 매체도 5곳으로 늘어났다.
검찰은 당시 불거졌던 대장동 의혹의 ‘민관 유착’ 프레임을 ‘검찰 수사’ 쪽의 문제로 바꾸기 위한 시도로 검찰은 의심하고 있다.
檢, 대장동 의혹 ‘민관유착’ 프레임→‘검찰 수사’ 전환 ‘시도’ 의심
지난 26일 서울중앙지검 특별수사팀(팀장 강백신 반부패수사1부장)은 정보통신망법상 명예훼손 혐의로 경향신문 전현직 기자 2명의 주거지에 검사와 수사관을 보내 취재 자료 등을 확보했다. 인터넷 매체 뉴스버스의 전직 기자 1명의 주거지도 압수수색 대상에 포함됐다.
이들은 대장동 의혹이 불거진 이후인 2021년 10월께 국민의힘 유력 후보였던 윤석열 대통령이 2011년 부산저축은행 사건을 수사하면서 대장동 대출 브로커였던 조우형 씨 사건을 무마해줬다는 취지의 허위 보도를 한 의혹을 받는다.
당시 경향신문은 윤 대통령의 부실 수사 의혹을 여러 차례 다뤘다. 2021년 10월7일자 기사에서 조씨가 2011년 대검 중수부의 부산저축은행 수사 당시 김만배 기자 소개로 박영수 전 특별검사를 변호사로 선임했고, 조씨가 관련된 대장동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관련 내용은 수사에서 다뤄지지 않았다고 보도했다.
부산저축은행 수사의 주임검사가 윤 대통령이었다는 사실도 이 기사에서 처음 거론됐다.
검찰은 이들 취재 과정에서 보도 내용이 허위라는 것을 알면서도 고의적으로 취재 자료, 보도 취지 등을 왜곡해 보도한 정황이 있다고 의심하고 있다.
경향신문, “팩트에 근거한 합리적 의문 제기”, 뉴스버스 “‘언론탄압’의 연장선”
해당 매체들은 반발하고 있다. 경향신문은 입장문을 내고 “팩트에 근거한 합리적 의문 제기”라며 “예단에 근거해 언론사를 무리하게 수사한 것으로 결론이 난다면 책임은 검찰이 져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뉴스버스 역시 “근거가 부풀려졌거나 빈약한 이번 압수수색은 윤석열 정권에 비판적인 언론들을 겨냥한 ‘언론탄압’의 연장선”이라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