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소득층·자영업자 한계가구, 가계부채 해결 가능할까?

저소득층·자영업자 한계가구, 가계부채 해결 가능할까?

  • 기자명 이은주
  • 입력 2017.02.20 15:36
  • 0
  • 본문 글씨 키우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경제의 뇌관으로 지목되는 가계부채가 최근 1300조 규모를 기록했다. 이에 따라 대출자들의 빚 증가, 금리 상승으로 인한 대출이자 확대 등에 금융업계가 긴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최근에는 국회에서도 가계부채 해결이 시급하다는 주장을 내세웠다.


20일 정세균 국회의장은 “최근 가계부채 한계가구가 급증하고 있으며 금리상승 및 소득감소 충격에 매우 취약한 상태”라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 ‘한계가구’란 금융부채가 금융자산보다 많고 원리금상환액이 처분가능소득의 40%를 초과하는 가구를 말했다.


정 의장은 한계가구, 특히 저소득층, 자영업자, 청년층, 고령층, 하우스푸어의 상환능력 제고를 위해 맞춤형 대책을 거듭 강조했다.


첫째, 저소득층 한계가구를 위해 3각축 대책(소득향상, 서민금융, 채무조정ㆍ신용회복) 마련.


둘째, 자영업자 한계가구를 대상으로 경영컨설팅을 강화해 경쟁력을 배가시키고 동종업종의 과다경쟁 완화 및 부채구조를 개선.


셋째, 신혼부부와 청년층의 주거비용 감소를 위해 공공임대주택 확대.


넷째, 부동산을 보유한 고령층 한계가구를 위해 주택연금(역모기지) 활성화.


다섯째, 주택 구입 과정에서 하우스푸어 가구가 과도하게 빚을 내지 않도록 관리하고, 마지막으로 지속적인 한계가구 모니터링체계 구축 등을 제시했다


특히 (추이)국회의장 정책수석실에 따르면, 금융부채가구 중 한계가구 비중은 2015년 14.8%(158.3만 가구)에서 2016년 16.7%(181.5만 가구)로 급등했다.


게다가 60대 이상 고령층(2016년 기준 18.1%), 30대 청년층(18.0%), 수도권(18.9%), 무직자(22.7%), 고용주(22.4%), 자영자(18.2%), 소득1분위(23.8%)에서 한계가구가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어 한계가구의 특징을 살펴보면, 첫째, 주택담보대출을 받아 집을 구입한 후 원금과 이자를 동시에 갚고 있는 가구 중에서 한계가구 비중이 높다.


또한 주택담보대출자(22.7%), 자기집 거주자(19.0%), 원리금동시 상환자(19.5%) 중에서 한계가구 비중이 높다. (하우스푸어형)


아울러 가처분소득보다 원리금상환액이 더 많고 금융자산 대비 금융부채 비율이 높아 연체 우려가 크다. 2016년 한계가구의 DRS()은 112.7%이며, 금융자산 대비 금융부채 비율은 278.8%로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한계가구는 대출 상환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이들은 생계부담 때문에 소비지출까지 줄이고 있는데, 한계가구의 32.8%는 상환이 아예 불가능하거나 만기 후에나 상환 가능하다고 응답했다.


뿐만 아니라 한계가구의 67.7%는 생계부담 때문에 지출을 줄이고 있다고 응답했다.


한편, (스트레스테스트) 한계가구 스트레스테스트 결과, 소득이 10% 감소하고 금리가 3%p 상승할 경우, 한계가구가 181.5만 가구(16.7%)에서 214.7만 가구(19.8%)로 급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퍼블릭 = 이은주 기자]



더퍼블릭 / 이은주 ejlee@thepublic.kr

저작권자 © 더퍼블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