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권여당 차기 당 대표는 누구?…문심(文心)으로 귀결되는 당권 경쟁

집권여당 차기 당 대표는 누구?…문심(文心)으로 귀결되는 당권 경쟁

  • 기자명 심정우
  • 입력 2018.06.27 15:34
  • 0
  • 본문 글씨 키우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더퍼블릭=심정우 기자]집권여당인 더불어민주당 신임 당 대표 및 지도부를 선출하는 전당대회가 오는 8월 25일 서울올림픽공원 체조경기장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전당대회 관리를 위한 전국대의원대회준비위원회(전준위) 위원장으로 4선의 오제세 의원으로 결정됐다.


전준위 부위원장은 3선의 민병두 의원이, 총괄본부장은 재선의 김민기 의원, 간사는 초선 김영진 의원으로 정해졌다.


민주당은 지난 20일 최고위원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을 심의하고 22일 최고위원회와 당무위원회를 통해 최종 확정했다.


치열한 당권 경쟁의 서막이 올라간 셈이다.


전준위는 ▲지도부의 최고위원 수(數) ▲대의원·권리당원 투표 비율 ▲컷오프 기준 등을 설정하기 때문에 당선인 및 지도부의 성향과 그 규모에 대한 청사진이 된다.


너도 나도 친문…진문 마케팅 등장 전망


무엇보다 새 지도부의 임기는 2년 이므로 이는 2020년 제21대 총선의 공천권과 직결 돼 공천의 성격을 좌우하게 된다.


이번 6·13 지방선거가 여권의 압승으로 끝나자 당대표·최고위원 후보만 7선 의원부터 초선 의원까지 20여명이 출사표를 던졌다.


이에 따라 ‘진문 마케팅’이 두드러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원조 친문 그룹에서는 우선 7선의 이해찬 의원이 거론된다. 이해찬 의원은 노무현 정부 국무총리를 역임했다.


문재인 대통령의 대표적 측근 3철 중 1인인 전해철 의원도 거론된다. 전 의원은 재선으로 선수는 낮지만 최근 경기도지사 민주당 경선에서 이재명 경기도지사 당선인과 겨루면서 존재감을 키웠다.


문재인의 호위무사로 불리던 최재성 의원은 이번 재보선 접전지인 송파을에서 4선 의원으로 부활한 만큼 입지가 넓어졌다.


같은 4선의 김진표 의원의 출마 가능성도 점쳐진다. 이들은 개개인이 강력한 후보로 평가되나 원조 친문으로 분류되는 만큼 출마직전 단일화로 일정 수준 정돈될 것이라는 분석이 많다.


여론조사에서 가장 돋보이는 것은 김부겸 행정안전부 장관이다. 김 장관은 최근 조사에서 당대표 적합도 1위에 이름을 올렸다. 하마평에 오른 또 다른 장관으로는 3선의 김영춘 해양수산부 장관이 있다.


중진 인사들부터 초재선 의원들까지


원내대표 출신인 4선의 박영선 의원과 3선의 우원식·우상호 의원도 출마를 고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박 의원은 재작년 대선 민주당 경선에서 문 대통령의 맞수였던 안희정 전 충남지사의 캠프에 몸담고 있었으나 경선 직후 민주당 대선후보가 된 문 대통령의 캠프로 영입 돼 문 대통령의 외연확장에 힘을 실어줬다.


우원식 의원은 가장 최근 원내대표를 맡아 지방선거의 기틀을 닦아놨고, 우상호 의원은 작년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로 촉발된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국면에서 원내대표로 당을 이끈 공이 있다.


박 의원과 우상호 의원의 경우 이번 지방선거에서 민주당 서울시장 후보 경선에 도전해 존재감을 과시하기도 했다.


비교적 선수가 높은 6선의 이석현 의원도 거론되며, 5선의 이종걸 의원은 21일 가장 먼저 당대표 출마를 공식화 했다.


이 외에도 4선의 송영길·안민석, 3선의 윤호중·이인영, 재선 신경민, 초선 김두관 의원까지도 당 대표 후보로 언급되고 있다.


당권을 겨냥하는 중량감 있는 인사들부터 인지도 상승을 노리는 초재선 의원들까지 너도나도 후보군 대열에 합류하는 모양새다.


특정 계파 당 장악력 상승


이러한 상황이다 보니 전준위의 컷오프 실시 여부 등이 더욱 주목된다. 교통정리가 필요하다는 얘기다.


정치권에서는 2년 전과 동일한 ‘컷오프 3명’ 방안이 그대로 적용될 가능성을 높게 점치고 있다.


무엇보다 이번 전당대회에서 가장 주목되는 부분은 민주당이 ‘단일성 집단지도체제’를 도입키로 했다는 점이다.


이는 당 대표 선거와 최고위원 선거를 분리해서 치르는 것으로 당 대표의 당 장악력에 힘을 싣는 동시에 주류계파 의원들의 최고위원 당선 가능성을 높이는 방식이다.


가장 높은 득표율을 가져갈 1등 주류의원이 당 대표 선거로 분리되면서 최고위원 선거에서는 당초 1등에게 쏠릴 것이었던 주류 표심이 다른 주류의원에게 분배되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주류계파 의원들의 단합이 잘 될 경우 당 대표로 밀 후보와 최고위원으로 밀 후보를 구분해 전략을 짜면, 주류계파의 당선확률을 최대로 끌어올리기에 용이하다.


동전의 양면처럼 비주류 세력에게는 악조건이 된다. 반대 계념인 ‘순수 집단지도체제’는 한 번의 선거를 통해 최다 득표자를 당대표로, 차순위 득표자부터 정해진 수만큼 최고위원으로 임명하는 방식으로 주류 표심이 1등에게 집중될 경우 비주류의 원의 당선가능성이 올라간다.


결국 민주당은 특정 계파의 당 장악력이 올라가는 방식이라는 것.


특히 전준위가 룰세팅 과정에서 여론조사 비중을 낮추고 권리당원의 투표 비율을 높일 경우 이같은 전략에 방점을 찍을 수 있다.


편중된 권력 좋지 못한 예…2016년 20대 총선 새누리당


현재 당규만 봐도 추미애 대표가 선출된 2016년 8월27일 전당대회에 비해 여론조사 비중은 낮고 권리당원의 투표비율은 높아져 있는데 민주당 일각에서는 최근 권리당원이 늘어난 것을 이유로 권리당원의 투표 비중을 높여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현재 민주당 당규는 권리당원·대의원 85%, 일반 여론조사 15%의 비율이다. 직전 전당대회에서는 대의원 투표 45%, 권리당원 ARS 투표 30%, 일반 여론조사 25%(국민 15%, 일반당원 10%) 비율이었다.


물론 이번 지방선거에서 민심이 여당 압승의 결과를 만든 데에는 문 대통령의 국정추진을 지지하는 마음이 컷을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을 뒷받침해줄 진문 지도부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는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한 수순일 수 있다.


다만, 지나치게 편중된 권력의 좋지 못한 사례는 역사 곳곳에서 감지된다. 멀리 볼 필요도 없이 직전 정권인 박근혜 정부의 2016년 4·13 총선이 있다.


새누리당(현 자유한국당)은 당초 야권분열이라는 호재 속에 국회선진화법을 무력화 하는 180석 이상을 목표로 삼았으나 결과는 민주당에게 1당의 지위를 내주는 참패를 당하고 말았다.


더퍼블릭 / 심정우 servant@thepublic.kr

저작권자 © 더퍼블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